내년 4월까지 경제지표 왜곡 영향
10월 FOMC에 9월 CPI 영향 미미할 듯
연준, 선제적 하방위험 관리 기대
당장 10월부터 핵심 물가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CPI) 데이터의 신뢰도가 심각하게 훼손돼 내년 상반기까지 부정확한 통계에 기반해 통화정책을 결정해야 하는 딜레마에 직면했다는 분석이다.
하나증권은 23일 보고서를 통해 셧다운으로 인해 오는 24일(현지시간) 뒤늦게 발표될 9월 CPI는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인하 결정을 막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미 파월 의장을 비롯한 연준 주요 인사들이 노동시장 약화 쪽에 무게를 두고 있어 , 9월 CPI가 예상치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금리 인하 명분은 충분하다는 것이다.
진짜 문제는 오는 11월 13일 발표 예정인 10월 CPI다. 셧다운 장기화로 노동통계국(BLS)의 데이터 수집에 직접적인 차질이 빚어졌기 때문이다.
특히 CPI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거비 데이터 오류가 심각할 것으로 보인다. BLS는 주거비 표본을 6개 패널로 나눠 6개월 주기 순환 방식으로 조사하는데 , 10월에 조사해야 할 패널(4월 마지막 조사)의 데이터 수집이 셧다운으로 불완전하게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
설상가상으로 CPI 데이터 품질은 셧다운 이전부터 이미 악화 추세였다. BLS가 발표하는 ‘공표하기 부적절한 데이터 건수’는 바이든 행정부 시절 평균 13개에서 트럼프 2기 들어 평균 18개로 늘어났다. 3개월 평균치로 보면 2019년 1월 통계 공표 시작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결국 연준은 정확한 인플레이션 동향을 파악하지 못한 채 ‘추정된 물가’에 기반해 정책을 결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하지만 하나증권은 통화정책의 무게중심이 이미 CPI 같은 지표의 혼란보다는 실물 경제의 둔화 신호로 넘어갔다고 진단했다.
허성우 하나증권 연구원은 “노동시장의 점진적 둔화와 취약 계층 중심의 소비 위축은 연준이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라며 “데이터 불확실성이 극대화되더라도 연준이 실물 경제의 하방 위험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금리 인하를 단행할 명분은 충분하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