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K맞춤 제조업 비자, 트럼프와 논의”…조지아 주지사 인터뷰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합법적 90일 단기체류 시급
구금 피해자들에 깊은 위로”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주지사 [연합뉴스]
지난달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와 관련해 조지아주가 연방정부에 새로운 비자 도입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금보다 대폭 간소화한 ‘제조업 비자(Manufacturing Visa)’를 도입해 한국 기업의 애로를 해소하자는 취지다.

23일부터 사흘간 한국을 방문할 예정인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사진)는 출국 직전인 21일(현지시간) 매일경제와 전화 인터뷰를 하면서 조지아주 구금 사태에 대해 “피해를 입은 근로자와 한국민들에게 깊은 위로를 전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켐프 주지사는 한국의 숙련된 인력이 미국 현지에서 제조 시설 구축을 원활히 지원할 수 있도록 제조업 비자를 도입하는 방안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논의했다고 전했다.

그는 제조업 비자에 대해 “한국 근로자들이 제조업 분야에서 최장 90일 정도 단기 체류가 가능한 합법적 절차를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그들이 핵심 장비를 설치하고, 해당 장비의 사용법을 직원들에게 교육한 뒤 한국으로 돌아가 평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켐프 주지사는 새 비자의 도입 절차나 한국 기업에만 한정되는 것인지 등은 언급하지는 않았다.

호주는 2004년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면서 별도 입법을 통해 매년 호주 국적 전문직에 적용되는 별도 비자(E-3 비자) 쿼터를 제공하고 있다. 미 연방 하원에는 이와 비슷한 형태로 한국인 전문직 취업비자(E-4) 도입 법안(한국동반자법)이 계류 중이다.

켐프 주지사는 한국인 구금 사태에 대해 “연방 차원의 작전이었다”면서도 “사건 이후 알게 된 문제점과 우려가 오히려 나쁜 상황을 좋은 방향으로 전환할 것이라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조지아주 사태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만들겠다는 취지다. 그는 “현대차 경영진, 백악관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과도 좋은 대화를 나눴다”고 강조했다. 공화당 소속인 켐프 주지사는 방한 기간에 현대차그룹 장재훈 부회장을 비롯해 LG에너지솔루션, SK온, CJ푸드빌 관계자 등을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 = 최승진 특파원 / 서울 = 한지연 기자]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