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내가 사니 떨어지네, 과학인가”…고공행진 금값, 뚝 떨어진 이유는?

김민주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안전자산 선호심리 약화…차익 실현 쏠려
증권가 “건전한 가격 조정…상승 요인 여전”


골드바 [연합뉴스]
천정부지로 치솟던 금값이 돌연 급락세로 돌아섰다. 금투자 열풍에 발맞춰 금테크(금+재테크) 비중을 늘렸거나 포트폴리오 추가를 앞뒀던 투자자들 사이에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간밤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산하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은 전일대비 5.7% 내린 온스당 4109.1달러(약 587만 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2013년 이후 일간 기준 12년 여만에 최대 낙폭이다.

전날 금값은 장중 낙폭을 6%대로 키웠다. 지난 21일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이날 미 동부시간 오전 11시 현재 온스당 4140.0달러(약 591만 원)로 전장 대비 5.03% 하락 거래됐다.

지난 20일까지만 해도 국제 금 가격이 현물 기준으로 온스당 4381달러(약 626만 원)까지 뛰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가파른 랠리를 지속했지만, 불과 하루만에 급락세로 전환한 것이다.

‘김치프리미엄’(국제 금값보다 국내 금값이 더 높아지는 현상)을 받던 국내 금거래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이날 오후 2시 50분 한국거래소 금시장에서 금 1g당 가격은 전일대비 1만540원(5.04%) 내린 19만837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최근 미국 주요 기업들이 호실적을 발표하며 투자심리가 회복되자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약화된 데 더해 복합적 요인이 맞물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단기 과열된 금 시장에서 차익 실현의 빌미를 제공한 요소로는 ▲이번주 말 미국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둔 경계심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 해제 가능성 ▲APEC 정상회의(미·중 정상회담을 통한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감 ▲달러지수 상승 등이 꼽힌다.

금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도 하락 전환했다. 현재 국내에서 상장된 금 ETF 중 가장 규모가 큰 ‘ACE KRX금현물’의 수익률은 이날 4.67% 감소했다. 해당 상품의 수익률은 이달 들어 최대 6.01%까지 올랐지만, 지난 20일(-5.45%)부터 하락 전환해 3거래일 연속 약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날 ‘KODEX 골드선물’과 ‘TIGER KRX금현물’의 수익률도 각각 4.31%, 4.68%씩 4%대 내림세를 보였다.

“단기 차익 실현 현상…‘저가 매수 기회’ 활용” 분석도
골드바 [연합뉴스]
증권가에선 국내외 금 시세의 갑작스런 변동에도 장기 전망은 우호적이란 평이 주를 이룬다. 지금의 금값 급락은 단기 차익실현 욕구가 투영된 현상이며 금 시세를 밀어 올리는 요소들이 여전히 산적하단 분석이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미 연준의 금리인하에 따른 실질금리 하락, 다양한 불확실성 리스크, 화폐 가치 하락에 대비한 투자전략으로 지칭되는 ‘디베이스먼트 트레이드’, 그리고 중국을 위시한 중앙은행의 금 수요 확대 등이 장기 금 가격 랠리를 지지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황병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단기 과열 해소를 위한 건전한 가격 조정일 뿐 금·은 등 귀금속 섹터의 방향성을 좌우하는 펀더멘털 훼손 가능성은 부재하다”며 “연준 주도의 통화정책 ‘완화’ 기조 하에서 강세 사이클(Bull Cycle)이 전개되는 귀금속 섹터 투자에 대한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황 연구원은 올해 남은 기간과 2026년 말까지 금 가격 예상 범위를 온스당 3900~5000달러(약 557만~715만 원)로 상향 조정하고, 단기적으로 불가피한 가격 조정은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할 것을 권고했다.

황 연구원은 “미국 경제가 직면하고 있는 양방향 리스크(고용 시장의 하방 위험과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 속에서 대표 안전자산이자 인플레이션 헤지 자산인 금과 귀금속 섹터의 수혜는 계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