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기차 저가공세? 맘대로 하세요”…지갑 열리는 곳 정해져 있었네

한지연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1~9월 누적 수입차 신규등록 22만대 넘어

BMW·벤츠 각각 1위·2위
수입차 왕좌자리 사수에도
증가율 6.2%·0.5%로 완만
테슬라는 84.7% 급증 ‘기염’
저가공세 나선 中 전기차 업체
내구성 데이터보안은 우려
BYD 신규 등록 2967대로
급성장 테슬라의 7%에 그쳐


테슬라 모델Y 주니퍼. 테슬라코리아
올 한 해에도 한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수입차·전기차 열풍이 거셌다. 올해 1~9월 누적 기준 신규 등록 수입차 대수가 22만대를 넘어섰고, 그 가운데 테슬라의 질주가 눈길을 끌었다. 테슬라의 압도적인 성장세로 BMW와 메르세데스-벤츠 등 전통 강자가 포진한 상위권 브랜드 간 점유율 격차가 좁혀지는 모습이다.

21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누적 총 22만5348대의 수입차가 신규 등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19만4731대) 대비 15.1% 늘어났다.

BMW와 벤츠가 각각 1위(5만7838대)와 2위(4만8283대)를 차지하며 변함없는 수입차 왕좌 자리를 사수했지만, 증가율은 각각 6.2%와 0.5%로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했다.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인 것은 단연 테슬라였다. 테슬라는 9월 말 기준 총 4만3612대가 등록돼 지난해 같은 기간(2만3617대)에 비해 84.7% 늘어나며 압도적으로 늘어나며 3위 자리를 꿰찼다. 2위를 차지한 벤츠와 단 4671대 차이로 테슬라가 뒤를 바짝 뒤쫓으며 1~3위 브랜드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완성차 트렌드가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넘어가는 가운데 독보적인 브랜드 파워를 가진 테슬라를 선택한 소비자가 많았다. 중국 브랜드들이 저가 공세를 펼치고 있지만 중국 전기차에 대한 내구성 불신과 데이터 보안 우려 등 때문에 테슬라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같은 기간 중국 BYD의 신규 등록 대수는 2967대로 테슬라의 7% 비중에 불과했다.

4위와 5위는 렉서스와 볼보가 각각 1만1629대와 1만494대를 차지했다. 1~5위의 모든 수입차 브랜드가 지난해 대비 신규 등록 대수가 증가했지만, 유일하게 볼보만 5.7% 역성장하며 주춤했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인기가 늘어나는 가운데 볼보가 친환경차 흐름에 기민하게 반응하지 못했던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아우디 더 뉴 Q5.아우디코리아
독일 완성차 3사 중 아우디는 8858대로 6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지난해 7028대에서 26%가 늘어나며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더 뉴 아우디 A6 e-트론’ ‘더 뉴 아우디 A5’ ‘더 뉴 아우디 Q5’ 등 올해 초 역대 최대 신차 라인업을 발표한 것이 판매량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1억5000만원 이상의 고급 수입차 시장도 크게 성장했다. 1억5000만원 이상 수입차 등록 대수는 올해 기준 9월까지 2만6910대, 지난해 같은 기간은 1만8701대로 43.9% 늘었다. 1억5000만원 이상 고급 수입차 등록 대수 순위는 올해와 내년 모두 1위부터 5위까지 BMW, 벤츠, 포르쉐, 랜드로바, 캐딜락으로 같았다. 그 외 렉서스와 람보르기니, 벤틀리도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누적 기준이 아닌 3분기(7~9월)만 따로 떼어놓고 보면 올해 테슬라의 폭발적 성장세가 더욱 눈에 띈다. 테슬라의 올해 3분기 신규 등록 대수는 2만4400대로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6237대로 집계돼 3위를 차지했지만, 1년 만에 291%나 많이 늘어나면서 1위로 뛰어올랐다.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클래스 실버 라이닝.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2위는 BMW로 1만9558대, 3위는 벤츠 1만5708대, 4위는 렉서스 4035대, 5위는 아우디 3948대가 순서대로 차지했다. 대부분 완만한 성장세를 보였지만 벤츠는 지난해 1만8037대에 비해 12.9%가 빠지며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올해 벤츠가 접근 가능성이 다소 낮은 최상위 차량인 AMG GT·마이바흐 SL 등 2종류의 신차만을 내놓은 것이 이유로 보인다.

E클래스와 C클래스 등 벤츠에서 가장 인기가 라인업의 신모델 교체 주기에 맞춰 이를 기다리는 소비자들이 올해 구매를 미뤘을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 현행 C클래스는 2021년 출시돼 4년 반 정도 된 모델로 내년에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모델이 판매될 예정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