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3사가 모두 해킹...“신고 지연·솜방망이 처벌 개선해야”

정호준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과방위 국정감사서 SKT·KT·LG유플 모두 질타
관련 서버 폐기하고 늑장 신고한 KT 등
증거 인멸 의혹과 신고 과정 문제도 비판
과기정통부 “과태료 인상 등 종합대책 22일 발표”


김영섭 KT 대표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 대표, 홍범식 LGU+ 대표,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김광일 MBK 대표이사, 유영상 SKT 대표가 일어나서 증인 선서를 진행하는 모습. [사진 = 뉴스1]
SK텔레콤 유심 해킹에 이어 KT와 LG유플러스까지 해킹 사태가 발생한 가운데, 통신사의 부실 관리와 증거 은폐, 늑장 신고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1일 국회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SKT는 해킹 인지 후 45시간 뒤 신고했고 KT는 3일뒤 신고했는데, 이에 대한 과태료는 1710만원에 불과했다”며 솜방망이 처벌이라고 지적했다.

신고 지연에 대해 SKT는 750만원, KT는 96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 점을 지적한 것이다. 현행법상 기업이 사이버 침해를 당하고 24시간 이내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최대 3000만원 과태료가 부과된다.

지난 8월 미국 보안 전문지 프랙 보고서에서 계정 권한 관리 시스템이 침해당한 것으로 지목됐던 LG유플러스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하지 않고 있다가 이날 국감에서 질타가 쏟아지자 “신고하겠다”고 뒤늦게 답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과태료를 상향하는 법안은 제안돼 있다”며 “기업이 신고하지 않아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대책도 고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류 차관은 이어 “정부 차원에서 정보 보호 대책을 22일 발표할 예정”이라며 “여러 사건에서 배운 교훈에 따라 제도를 정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업들의 증거 은폐 시도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KT는 침해 사고 발생 후 세 차례에 걸쳐 관련 서버를 폐기하고, LG유플러스는 당국에서 확인을 요청하자 그다음 날 서버 운영체제를 업데이트하며 이같은 의혹이 불거졌다.

과기정통부 또한 KT가 서버 폐기 과정에서 KT의 고의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한 상황이다.

정부의 조사 권한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기업이 신고하지 않더라도 침해가 탐지되면 과기정통부나 KISA에서 조사할 수 있는지” 묻는 질의에 류 차관은 “자료 제출은 요구할 수 있지만 직접 조사하는 근거는 부족하다”고 답했다.

조인철 민주당 의원은 “신고가 없더라도 조사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KT #sk텔레콤 #롯데카드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