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는 병실 없다고 하더니”…서울대병원 특실 464일 입원한 VIP

심희진 기자
입력
수정 2025.10.21. 오전 11:28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연회비 최대 2600만원 프리미어CEO
특실 입원일수 일반 환자보다 더 길어
필수의료 인력도 상당수 VIP진료배치
김윤 의원 “국립대병원 부적절한 운영”


서울대병원 전경.
서울대병원이 운영하는 VIP 회원제 프로그램 ‘프리미어 CEO(최고경영자)’ 가입자가 일반 환자보다 특실을 두 배 이상 오래 이용하고, 코로나19 확산기에는 한 명이 1년 넘게 특실에 머문 것으로 드러났다. 국립대병원이 공공의료보다 고가 VIP 중심 운영에 치중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대병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20~2025년 특실 입원 현황 및 프리미어 CEO 회원제 운영 자료’에 따르면 일반 환자의 평균 특실 입원일수는 5.9일인 반면 VIP 회원은 8.1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확산이 극심했던 2021년에는 전체 특실 환자의 평균 입원일수가 4.8일이었지만 VIP 회원은 무려 20.8일에 달했다.

이 기간 VIP 회원 중 한명은 464일 동안 특실에 입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의료적 필요라기보다 사실상 ‘특실 독점’에 가까운 특혜라는 비판이 나온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가 운영 중인 프리미어 CEO 제도는 2006년 도입된 고가 회원제 프로그램이다. 단순 건강검진이 아니라 개인 건강상태에 맞춘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전용 VIP룸과 전담 간호사(헬스매니저)의 일대일 코디네이션, 검진 이후 진료 연계 등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2025년 기준 프리미어 CEO 회원 수는 148명으로 최근 5년간 약 150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가입 유형은 △프리미어(검진 포함·연회비 최대 2600만원) △프리미어 라이트(검진 제외·연회비 2100만 원)로 구분된다. 올해 상반기 기준 1인 평균 납부액은 신규 회원 2157만원, 기존 회원 2194만원이다.

최근 3년간 서울대병원 강남센터가 프리미어 CEO 프로그램과 개인 건강검진으로 벌어들인 수입은 연평균 601억원에 달했다. 2024년 기준 프리미어 CEO 회원비는 약 32억원, 일반 검진수입은 약 589억원이었다.

강남센터 근무 인력은 의사 64명, 간호사 113명, 보건직 69명, 사무직 등 기타 49명 등 총 295명으로, 인건비만 연 270억 원 수준이다.

문제는 강남센터의 회계가 서울대병원 본원과 통합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국립대병원 인건비가 사실상 VIP 회원제와 고가 검진 프로그램 인력 운영에 투입되는 구조인 셈이다.

김윤 의원실에 따르면 VIP 회원을 담당하는 의사 34명 중 29명이 내과, 4명이 가정의학과, 1명이 외과 전문의로 확인됐다. 서울대병원 본원이 필수의료 인력난을 호소하는 상황에서 상당수 전문의가 VIP 진료에 배치된 셈이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는 연평균 약 46억원의 임대료를 지출하고 있으며, 최근 5년간 신규 의료장비 구입비로 연평균 16억원을 사용했다. 2024년 기준 건물 임대료는 47억원, 장비 구입비는 33억원이었다.

김 의원은 “서울대병원은 독자적 설치법에 근거한 유일한 국립대병원으로, 국가 공공의료의 최후 보루이자 필수의료의 중심에 서야 한다”며 “의료대란 속에서도 전문 인력이 VIP 중심 진료에 우선 배치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 최고 국립대병원조차 고가 VIP 프로그램에 의존해야 하는 구조 자체가 문제”라며 “특실 운영과 VIP 연계 실태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공공병원으로서 필수의료 인력과 병상 운영 기준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국회가 추진 중인 필수의료특별법이 통과되면 국립대병원이 별도 재원을 통해 공공·필수의료에 집중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픽사베이]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IT,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