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와 골프는 못쳤지만”...마러라고 달려간 기업총수들, 경기 뒤 만남 가져

백지연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골프 클럽으로 향하는 트럼프 대통령 자동차.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이 미국 플로리다 마러라고 리조트 인근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골프 회동을 마치고 속속 귀국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과 어떤 대화를 나눴을지에 관심이 모인다.

20일 재계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에 있는 트럼프 대통령 소유 ‘웨스트팜비치 트럼프 인터내셔널 골프 클럽’에서 열린 골프 행사에 참여했다.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이 주최한 이번 행사는 트럼프 대통령과 한국·일본·대만 등의 기업 대표들을 초청해 12조(4인 1조)로 골프를 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최자인 손 회장과 더불어 프로 골퍼 게리 플레이어, 브라이슨 디샘보와 같은 조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총수들과는 직접 골프를 치지 않았다. 다만 이날 골프 조는 미국 정부 인사 1명, 프로 골퍼 1명, 기업인 2명으로 구성돼 국내 총수들 모두 미국 정부 고위 관계자들과 함께 라운드했다고 재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국내 주요 기업 총수들이 단체로 정·재계 주요 인사와 골프를 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 재계 관계자는 “총수들은 출국 전부터 누구와 함께 라운드할지를 통보받았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치지 않더라도 경기 후 만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는 얘기를 듣고 바로 미국으로 향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국내 4대그룹 회장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들 4대 그룹 회장과 김 부회장은 골프 회동 후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현지 투자에 대한 이야기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과 관세와 관련한 이야기는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총수들은 국내 기업들의 미국 내 투자 현황을 공유했고,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조선업 협력을 특히 강조하며 협조를 부탁했다는 얘기가 나온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는 “회동의 성격상 관세 조건에 대한 직접적인 요청보다는 미국 내 투자를 ‘미국 경제에 대한 기여’라는 맥락으로 받쳐줄 수 있는 투자 현황을 설명했을 것”이라며 “총수들은 무엇을 요청했다기보다 국익을 위해 트럼프와 신뢰 관계를 쌓겠다는 생각으로 이번 행사에 참여한 것 같다”고 말했다.

총수들은 약 7시간가량 진행된 골프 회동을 마치고 속속 귀국하고 있다. 이재용 회장과 최태원 회장은 각각 이날 오전 3시와 7시께 연이어 입국했다. 시간을 고려하면 골프 회동 후 바로 귀국 비행기에 오른 것으로 보인다.

정의선 회장과 김동관 부회장은 현지 사업장 점검 차 아직 미국에 머무르고 있다. 구광모 회장도 아직 귀국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