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측에 금품줬다”…‘결국 인정한’ 건진법사, 특검 뇌물수사 탄력

류영상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건희 여사(왼쪽)와 건진법사 [사진 = 연합뉴스]
건진법사 전성배씨가 통일교 측으로부터 금품을 받아 김건희 여사측에 전달했다고 법정에서 인정하면서 특검이 뇌물 수사에 착수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19일 법조계에 따르면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전씨가 연루된 이 사건과 관련해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에게 뇌물 혐의를 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모(구속기소)씨가 2022년 4∼7월 전씨를 통해 김 여사에게 교단 현안을 청탁하며 샤넬백과 그라프 목걸이 등 금품을 건넸다고 본다.

하지만 수사과정에서 금품이 김 여사에게 갔다는 확실한 증거는 확보하지 못했다.

김 여사 자택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와 그가 운영한 코바나컨텐츠 사무실의 압수수색 과정에서도 문제의 샤넬백과 그라프 목걸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전씨 역시 특검조사에서 “윤씨로부터 금품을 받긴 했으나 목걸이는 받자마자 잃어버렸고 샤넬백 2개는 각각 다른 제품으로 교환한 후 잃어버렸다”고만 진술했다.

고심 끝에 특검팀은 금품을 받은 전씨에게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를 적용하고 김 여사를 공범으로 지목해 재판에 넘겼다.

그런데 전씨 측이 지난 15일 첫 공판에서 결국 기존 진술을 뒤집으면서 특검팀에 새로운 수사 단서를 제공케 됐다.

전씨 변호인은 윤씨로부터 받은 금품을 김 여사의 수행비서였던 유경옥 전 대통령실 행정관에게 전달했다고 인정했다.

이어 “금품은 (윤씨가) 김 여사에게 전달하는 것을 전제로 전씨에게 교부한 것이고, 이는 김 여사에게 소유권이 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며 “전씨는 최종 전달될 금품을 일시 점유한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입증이 까다로웠던 지점이 절로 해결된 만큼 특검팀으로선 ‘최종 관문’인 윤석열 전 대통령의 관여 여부를 본격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게 됐다.

통일교 측 청탁의 뼈대는 제5유엔사무국 한국 유치 등 교단 현안에 정부 조직·예산·인사를 지원해달라는 것으로, 청탁의 대상은 민간인인 김 여사가 아니라 윤 전 대통령이라는 게 특검팀 시각이다.

김 여사가 윤 전 대통령과 공모해 청탁의 대가로 금품을 수수한 사실이 입증되면 부부에게 뇌물 혐의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