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16일 삼성 글로벌 유튜브 채널에 ‘진짜 QLED는 어디에?’라는 섬네일의 영상을 올렸다.
영상은 TV 마케터가 가짜 QLED TV를 진짜인 것처럼 판매하면서 겪는 내면의 갈등을 표현했다.
QD는 전기에너지를 받으면 빛을 내는 머리카락 굵기 수만분의 1에 해당하는 초미세 반도체 입자다. 디스플레이의 밝기, 명암, 색상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삼성전자 QLED는 필름 내 퀀텀닷 소재를 3000ppm 이상 포함하고 있다.
광대로 분장해 모습을 숨긴 마케터가 ‘진짜 QLED는 어디에?’(Where is the real QLED?)라며 고민하는 모습을 그렸다. 이는 중국 TV 업체의 ‘리얼 QLED’ 의혹을 광대를 통해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이번 광고가 생성형 AI로 제작된 점도 관심을 끈다.
해당 광고 댓글에는 “영화 예고편인줄 알았다” “AI를 이용해 ‘진짜’와 ‘가짜’의 개념을 알리는 게 기발하다” 등의 반등이 나오고 있다.
삼성전자는 2주 전에도 생선 살이 올라가지 않은 초밥, 토르티야가 없는 타코, 소시지가 없는 핫도그를 판매하는 광대를 통해 ‘리얼 QLED’ 의혹을 돌려 표현한 콘텐츠를 선보인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