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3500억달러 투자방식 따라 외환안정성 점검해야”

최승진 기자
입력
수정 2025.10.17. 오전 9:04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미 투자 ‘조기선납’이 美 입장
“베선트에 ‘어렵다’ 우려 전달”
트럼프 수용 여부 ‘진짜 불확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현지시간) 워싱턴DC의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특파원단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현지시간) 미국과의 무역협상에서 쟁점으로 남은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투자 방식이 먼저 결정돼야 외환안정성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원화를 활용한 대미투자 등 외환안정성 확보 방안이 거론되고 있지만, 이보다는 투자방식 자체에 대한 결정이 우선시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구 부총리는 이날 워싱턴DC의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워싱턴 특파원단과 만나 “3500억달러 투자를 어떻게 할지 그 스킴(scheme·계획)에 따라 외환 안정성을 점검해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3500억달러를 선불로 하게 되면 외환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고, 그 스킴에 한국의 입장이 충분히 반영돼 외환 영향이 적어진다면 저희가 보완해야 할 사항은 적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무당국간 통화스와프 등 다양한 외환안정성 방안이 거론되고 있지만, 어떤 경우든 대미투자가 ‘선납’으로 이뤄지게 되면 외환시장에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친 셈이다.

구 부총리는 “3500억 달러 ‘업 프론트’(up front·선불)를 빨리 하라는 것이 미국의 이야기로 알고 있다”며 “실무 장관은 (전액 선불 투자가 어렵다는 한국 정부 입장을) 이해하고 있는데, 얼마나 대통령을 설득해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수용하느냐 하는 부분은 진짜 불확실성이 있다”고 전했다.

구 부총리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전날 만나 대미 투자 선불 요구가 한국 외환시장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했다.

구 부총리는 “외환 사정상 한국이 그렇게 하기 어렵다는 것을 베선트 장관에게 말했고 베선트 장관은 한국이 한꺼번에 선불로 내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베선트 장관에게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 행정부 내부에 (한국 입장을) 이야기해달라고 요청했고, 자기가 충분히 설명하겠다는 긍정적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3500억 달러 투자 시기를 최대 10년으로 분할하고 원화로 투자금을 조달하는 방안을 양국이 논의 중이라는 일부 보도에 대해선 “처음 듣는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