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게임 주역 만난 李 "개발자 집중근로 필요성 이해"

성승훈 기자
입력
수정 2025.10.16. 오후 5:13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李대통령 K게임 간담회
탄력 근로시간제 양면 있어
최소한의 인권 보장도 강조
"게임 재미있어 과몰입 불구
부작용은 해결하고 기회로"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오전 서울 성동구 펍지(PUBG) 성수에서 열린 K게임 현장 간담회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성준호 스마일게이트 대표, 김정욱 넥슨 대표, 노태영 프로게이머, 이 대통령, 김지안 게임인재원 학생,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김호영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탄력적인 노동시간 운영에는 양면이 있다"며 사업자와 청년 인권까지 고려해 제도적으로 지혜롭게 해결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성동구 펍지(PUBG)성수에서 열린 K게임 간담회에서 "개발자는 집중근무가 가능하도록 노동시간을 자유롭게 풀어줬으면 좋겠다고 하지만, 노동자들은 뒤에서 죽겠다고 한다"고 밝혔다. 이어 "사업자 윤리·도덕에만 맡길 것이 아니라 일종의 제도로 보장하며 두 가지 충돌되는 문제를 지혜롭게 해결해야 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이 게임업계 관행으로 불리는 '크런치 모드'를 언급하며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이다. 크런치 모드는 신작 개발이나 대형 업데이트를 앞두고 이뤄지는 고강도 근무를 뜻한다. 이 대통령은 "최소한의 인권이 보장되지 않거나 소모품으로 버려지는 현상이 생기지 않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 성과를 청년 직원들과 공유해야 한다는 주문도 내놨다. 게임 기업들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많이 늘어난 만큼 연구개발(R&D)·관리 업무에 종사하는 청년들도 혜택과 기회를 누릴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취지다.

그러면서도 게임 산업을 옥죄던 규제를 혁파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 대통령은 "정부에서 게임을 마약과 함께 '4대 중독'으로 규정하며 억압 정책을 하는 바람에 중국보다 우리가 앞서 있다가 확 추월당했다"며 정책 방향을 바꾸겠다고 선언했다.

이 대통령은 "게임이 너무 재미있으니까 과몰입되는 문제는 있는데, 부작용은 부작용대로 대처하고 해결해 가야 한다"면서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방준혁 넷마블 의장,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김정욱 넥슨 대표,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성준호 스마일게이트 대표 등이 참석했다. 기업 대표뿐 아니라 게임 음악 작곡가나 인디게임 업체를 이끄는 청년들도 함께했다.

김택진 대표는 "주변국과 경쟁이 심해졌으나 인공지능(AI)을 통해 작은 회사의 창의력을 증대할 기회가 생겼다"며 산업진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정욱 대표는 "게임도 전략 품목이 돼야 한다"며 "혁신을 통한 글로벌 진출을 위해 인식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성승훈 기자]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