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만에 계열사 43개 줄여…연내 80여개로 축소
“AI와 카카오톡 결합해 사용자 일상 혁신할 것”
정 대표가 2023년 9월 CA협의체 사업총괄로 취임했을 당시 카카오 계열사는 142개였다. 이를 대표이사 선임 시점인 지난해 3월 132개로, 현재는 99개까지 줄였다.
정 대표는 주주서한에서 “이는 인공지능(AI) 시대에 핵심에 집중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성이며, 사회적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카카오의 의지를 담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핵심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재무 체질 개선도 이뤄지고 있다. 카카오의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한 1859억원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현재 카카오는 AI와 카카오톡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성장 모멘텀 실현에 나서고 있다. 5000만 사용자 모두가 카카오톡을 통해 AI를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개인의 필요와 취향에 맞춰진 AI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목표다.
이달 말 출시 예정인 오픈AI와의 공동 프로덕트 ‘챗지피티 포 카카오’는 별도 애플리케이션(앱) 설치 없이 카카오톡 채팅탭에서 바로 챗GPT를 사용할 수 있다.
온디바이스 AI ‘카나나 인 카카오톡’도 출시를 앞두고 있다. 자체 경량 모델 ‘카나나 나노’를 활용해 스마트폰 안에서만 작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지난 8월 공개한 MCP(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와 에이전틱 AI 플랫폼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에이전트로 연결하는 AI 생태계 확장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정 대표는 주주서한을 통해 주주가치 제고, 대한민국 AI 인재 육성, 소상공인 지원을 핵심 축으로 하는 책임경영 강화 방향성도 공개했다.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주요 경영진 대상이었던 총주주수익률(TSR) 연계 보수 체계를 올해부터는 전 임원으로 확대 적용했다. 또 청소년 대상 AI교육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국내 4대 과학기술원과 협력해 향후 5년간 5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더불어 소상공인들이 사업의 본질에 집중할 수 있도록 ‘소상공인 통합지원 TF’를 신설해 단계별 맞춤 지원을 제공하는 등 파트너와의 상생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정 대표는 “임기 동안 책임경영의 세 가지 축을 흔들림 없이 챙기며, 카카오가 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기업임을 증명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올 하반기부터는 AI와 카카오톡의 결합을 통한 또 한 번의 일상 혁신을 본격적으로 선보일 것”이라며 “보다 빠르게 대응하면서 시장을 선점하고 빠른 시일 내에 압도적인 성장을 통해 주주가치를 제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