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부처 출범 첫 행보는 기업인 소통
김성환 “산업용 전기료인상 최대한 억제”
전력공급 또다른 한축 원전은 소외
이날 김 장관은 세종정부청사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에너지체계를 대전환하겠다”며 “현재 누적 34기가와트 수준의 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가능한 100GW(기가와트) 수준까지 대폭 늘리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이 밝힌 재생에너지 보급량은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서 정한 재생에너지 보급량 78GW대비 28.2% 늘어난 수치다. 정부는 2년마다 전기본을 수립해 중장기 전력수급계획을 마련하는데, 전문가들의 숙의과정을 거쳐 만든 현행 전기본을 대폭 손질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평가된다.
이날 김 장관은 원전 정책 관련 메시지는 내놓지 않았다. 원자력업계에서는 부처 개편과 함께 김 장관이 재생에너지에 힘을 실은 만큼 향후 원전 진흥 정책이 후퇴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김 장관은 최근 신규 원전에 대해서도 ‘공론화’를 거쳐 재판단하겠다는 방침을 천명하면서 업계 불안감은 한층 더 고조된 상태다.
김 장관은 탄소중립산업 국가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그는 “제조업 강국인 대한민국이 태양광, 풍력, 전기차, 배터리, 히트펌프, 가상발전소(VPP) 등 탄소중립산업 부문에서도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녹색금융을 확대하는 한편, ‘탄소중립산업법’ 제정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위한 법적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출범식에 앞서 김 장관은 부처 출범 후 첫번째 일정으로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한 기업인 소통 행사에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는 전국상공회의소 회장단과 박승희 삼성전자 사장, 정기옥 LSC푸드 회장 등 기업인 250여명이 자리했다.
이 자리에서 김 장관은 “지난 정부에서 한전의 누적된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용 전기요금을 대폭 인상했다”며 “정책을 되돌릴 수는 없지만 이재명 대통령이 전기요금 때문에 기업이 고통을 받으면 안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현 정부에서는 산업용 전기요금의 추가인상은 최대한 억제하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