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국정원 “‘김정은 방중 동행’ 김주애, 유력 후계자 입지다져”

이미연 기자
입력
수정 2025.09.11. 오후 3:53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정은 건강에 큰 이상 없는 것으로 판단…심박·혈압 정상범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딸 김주애.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은 11일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딸 주애에게 해외 경험을 쌓도록 하면서 유력 후계자로서의 입지를 다진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박선원·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에 따르면,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회의에서 최근 김 위원장의 방중에 함께한 김주애와 관련해 이러한 내용을 보고했다.

국정원은 “김주애는 방중 기간 대사관에 머물며 외부 출입을 자제했고, 귀국 시 전용 열차에 미리 탑승해 언론 노출을 회피한 것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며 “그럼에도 유력 후계자 입지에 필요한 혁명 서사는 충분히 확보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김주애를 후계자로 인식하고 서사를 완성해가는 과정에 방중을 함께한 것”이라며 “김주애 방중 취지가 기본적으로 세습을 염두에 둔 하나의 서사를 완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분석한다”고 부연했다.

며칠 전 박지원 의원 “김주애 후계자 아닐 것” 분석에 관련 질문 나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중국 베이징에 동행한 딸 김주애.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 의원은 “회의에서 김주애를 제외한 자녀 여부 질문이 나왔고, (다른) 자녀가 장애를 갖고 있거나 혹은 유학을 갔다는 여러 설이 있지만 (국정원은) 그렇게 유력하게 보지 않는다”며 “유학은 존재를 숨기려 해도 드러나지 않을 수 없기에 유학 가능성을 높게 보지 않는다고 보고했다”고 전했다.

이 질문은 지난 8일 박지원 민주당 의원이 YTN라디오에 출연해 “사회주의 국가 봉건사회에서 딸이 후계자가, 여성이 국가 원수가 된 적은 없다”면서 김주애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후계자가 아니라고 분석한 발언때문에 나온 것으로 보인다.

당시 박 의원은 “제가 볼 때 아들은 지금 서방 세계 어딘가에서 유학을 하고 있을 것”이라며 “이것을 은폐하기 위해서 김주애를 내세우고 있다”고 언급했다.

“김정은, 방중 상당한 성과 자평…방중 자신감 토대 공세적 행보 가능성”
이종석 국가정보원장이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 뉴스1]
국정원은 “북한이 방중을 통해 얻은 자신감을 토대로 공세적 행보에 나설 가능성이 커졌다”며 “중국과 인적·물적 협력 확대를 모색하고, 김 위원장 방러 카드를 활용해 동맹 장기화 혹은 반대급부 추가 확보에 박차를 가할 가능성 커졌다”고 분석했다.

다만 국정원은 “방중에서 일정 부분 한계도 있었다”며 “북중러가 그림 상으로는 3자 연대의 모습을 보였지만 실제로 3자 정상회담이나 3자 간 구체적 정책 협의 플랫폼 구축의 진전이 없었다는 점에서 북중, 북러 회담에서 이견이 있었던 것 아닌가 한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북러 회담에서도 김 위원장은 동맹을 장기화하려는 의지를 드러냈지만, 푸틴 대통령이 미래를 거론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과연 김 위원장이 의도한 만큼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성과를) 얻어냈느냐에 이견이 있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 외에도 국정원은 김 위원장의 건강 관련 “큰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가끔 초고도비만으로 땀을 많이 흘리거나 계단 오를 때 가쁜 숨을 내쉬는 경우도 있지만 심박·혈압 등 대부분이 정상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보고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