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성남분당갑, 안철수 44% vs 이광재 45% [매경·MBN 여론조사]

손일선 기자
입력
수정 2024.03.21. 오후 5:42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선주자급 맞대결로 핫한 분당갑
안철수·이광재, 1%P차 초박빙 경쟁
전통적 보수 텃밭이지만 野공세 거세


◆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여론조사 ◆

매경·MBN 경기 성남 분당갑 여론조사
대선 잠룡 간 ‘빅매치’로 주목받는 경기 성남시 분당구갑에서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과 이광재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그야말로 초접전 승부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경제·MBN이 넥스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7~18일 분당갑에서 만18세 이상 유권자 512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안 후보와 이 후보의 지지율을 각각 44%, 45%로 양측의 차이가 1%포인트에 불과했다. 오차범위 이내이기 때문에 통계적 의미로는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뜻이다. 제3지대에서 도전장을 내민 류호정 개혁신당 후보에 대한 지지율은 2%에 그쳤다. 응답률은 12.7%다.

경기 분당갑은 수도권에서 대표적인 보수 텃밭 중 하나로 꼽히는 지역이다. 지난 2000년 신설된 분당갑 지역구는 16대 총선부터 2022년 재보궐 선거까지 치러진 7번의 선거에서 보수계열 정당이 6번이나 승리했다.

가장 최근 선거인 2022년 재보선의 경우 안 후보(62.5%)가 민주당 후보인 김병관 전 의원(37.49%)을 25%포인트 차로 따돌리며 압승을 거뒀다. 같은 해 치러진 대선과 경기도지사 선거에서도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더 많은 표를 받았다.

이 때문에 두 사람 간 빅매치가 성사됐을 때 안 의원의 우세를 점치는 시각이 우세했다. 실제로 이달 초까지만 해도 안 후보 강세가 이어졌다. 하지만 최근 이종섭 주호주대사와 황상무 전 대통령실 수석 논란 등으로 중도층 민심이 출렁이면서 분당갑도 수도권 초박빙 격전지로 분류되기 시작했다.

실제로 자신의 이념성향을 보수라고 답한 응답자 중 안 의원을 지지한다는 답변은 79%, 진보라고 답한 응답자 가운데 이 후보를 지지한다는 답변은 82%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중도층에선 이 후보가 우세했다. 자신을 중도라고 평가한 응답자의 경우 안 후보가 36%, 이 후보가 53%의 지지율을 각각 얻어냈다.

이와 같은 흐름에서 정권 심판론에 대한 공감 비중(57%)이 야당 심판론에 공감한다는 답변(50%)보다 높았다. 윤석열 대통령 국정수행에 대한 지지도 역시 부정평가(60%)가 긍정평가(36%)보다 높았다.

다만 지지하는 정당을 묻는 질문에는 국민의힘이 40%로 민주당(35%)을 앞섰다. 이어 조국혁신당 8%, 개혁신당 4%, 새로운미래가 1%를 기록했다.

각 후보에 대한 지지율은 연령대별로 크게 엇갈렸다. 안철수 의원은 60대, 70대 이상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지만 30~50대에서는 이 후보가 앞섰다.

여론조사 어떻게 했나
매일경제신문과 MBN은 여론조사업체 넥스트리서치에 의뢰해 만 18세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17~20일 서울 종로·중구성동갑·영등포갑·마포을(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 경기 성남 분당갑(표본오차 ±4.3%p) 등 5곳에서 각 지역마다 500여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통해 전화 면접조사 100%로 진행됐다. 지역별 응답률은 △서울 종로 10.6% △서울 중성동갑 15.4% △서울 영등포갑 9.4% △서울 마포을 10.5% △경기 성남분당갑 12.7%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총선,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
댓글

매일경제 댓글 정책에 따라 매일경제에서 제공하는 총선섹션 기사의 본문 하단에는 댓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