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장관 "미국측, 우리 의견 수용…3500억달러 전액 현금 요구 안해"

김사무엘 기자
입력
수정 2025.10.20. 오후 7:52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미 관세협상 후속 논의를 위해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했던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20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입국장으로 귀국해 발언하고 있다. 2025.10.20. yesphoto@newsis.com /사진=뉴시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3500억달러(약 500조) 규모의 대미 투자펀드와 관련해 "미국이 전액 현금투자를 요구하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20일 미국 출장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인천국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거기까지(미국이 전액 현금투자를 요구하는 상황까지) 갔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을 텐데 이에 대해 상당 부분 미국 측에서 우리 의견을 받아들였다"며 이같이 말했다.

3500억달러 대미 투자펀드는 미국이 우리나라에 대한 상호관세와 자동차 품목관세 등을 기존 25%에서 15%로 낮추는 대가로 우리나라가 미국에 제공하기로 약속한 것이다. 하지만 투자방식과 이익배분 등에서 한미 간 의견 차이가 상당해 관세 협상에서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미국은 투자금 전액을 현금으로 직접 투자하길 요구한 반면 우리나라는 융자·보증 등 간접투자로 집행한다는 계획이다. 미국의 요구대로 전액 현금투자를 할 경우 과도한 외화 유출로 외환위기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등 통상당국은 관세 후속협상을 위해 수 차례 미국을 방문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등과 협의를 이어갔다. 이날 김 장관의 발언에 따라 미국이 한국의 입장을 일부 수용하기로 하면서 최종 협상도 속도를 낼 것이란 관측이다. 대미 투자펀드 중 현금 투자비중을 일정 비율로 제한하거나 분할 투자하는 방식 등이 검토될 수 있다.

김 장관은 대미 투자로 인한 외환시장 우려에 대해 "(양국 협상에서) 한국의 외환시장에 부담을 주는 선에서는 안되겠다는 컨센서스(합의)가 있었다"며 "이를 바탕으로 협의가 진전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관세와 관련한 한미 공동 합의문이 도출될 가능성도 나온다. 김 장관은 "양측이 APEC을 계기로 협상을 한번 만들어보자는 데 어느 정도 일치감이 있다"며 "그 시점보다는 이것이 국익에 가장 맞느냐 하는 게 더 우선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기적으로 APEC 전에 해결할 수 있는 과제인지는 판단이 필요할 것"이라며 "필요하면 (미국에) 한 번 더 갈 생각도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