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한국 새 정부 정책방향, 권고 내용과 부합"

박광범 기자
입력
수정 2025.10.20. 오전 4:11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구윤철 부총리, IMF 총재 면담
AI 대전환·초혁신경제 등 설명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지난 17일(현지시간)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와 면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 제공=기획재정부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 새 정부의 경제·재정정책이 IMF의 권고방향에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G20(주요 20개국)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및 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7일(현지시간)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와 면담했다. 구 부총리는 면담에서 AI(인공지능) 대전환과 초혁신경제를 구현하기 위한 한국 경제의 성장전략을 설명했다. 특히 전국민 대상 AI 교육 강화, 데이터 축적 확대,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언어모델 개발을 통해 생산성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반도체와 SMR(소형모듈원자로), 그린수소 등 초혁신기술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민관협력 생태계 조성을 통해 AI 기반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해 나가고 있다고 했다. 이에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새 정부의 경제·재정정책 방향이 IMF의 권고 내용과 부합한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구 부총리는 또 국제신용평가사 피치의 제임스 롱스돈 국가신용등급 글로벌총괄과도 면담했다. 구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성장경쟁력 확보를 위한 AI 대전환, 초혁신경제 등 정부가 추진하는 핵심 정책들과 이에 대한 적극적 재정투자 계획을 공유했다.

피치 측은 구 부총리의 설명이 한국 경제에 대한 깊은 이해와 평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감사를 표하며 경제전망, 재정기조 등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아울러 구 부총리는 아제이 방가 WB 총재와도 면담했다. 두 사람은 AI의 적절한 활용이 개발도상국의 생산성과 삶의 질 향상을 크게 개선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에 공감했다.

특히 이번 연차총회에선 한국이 단독 출연하는 '디지털 신탁기금 행정협정'의 서명이 완료돼 양 기관간 본격적 AI 협업의 유용한 창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구 부총리는 WB와의 긴밀한 협력을 위해 한국인 채용과 고위직 비중확대에 대한 관심을 당부했다.

한편 구 부총리는 이날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에 IMF 이사국 대표 자격으로 참석했다.

IMF는 이번 회의에서 글로벌 저성장과 고부채, 지정학적 불확실성 심화에 대응하기 위해 재정건전성 회복과 생산성 제고를 통한 지속가능 성장을 추진하겠다는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구 부총리는 IMF의 방향성에 공감하면서 통상 등 주요 정책의 파급효과와 디지털화와 같은 중장기 도전 요인에 대한 정교한 분석과 국가별 맞춤형 정책권고를 요청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