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고가주택, 보유세 높이고 거래세 낮출 것"

박광범 기자
입력
수정 2025.10.20. 오전 4:02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세제정책 방향 시사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와 국제통화기금 및 세계은행(IMF/WB) 연차총회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에서 동행 기자단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사진 제공=기재부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앞으로 부동산 세제정책 방향으로 '보유세 강화-거래세 완화'를 시사했다. 특히 '고가주택에 대한 보유세 강화' 카드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열린 G20(주요 20개국)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동행기자단과 간담회에서 "우리나라는 부동산 보유세 부담은 낮고 양도세는 크다 보니 집을 사기만 하면 유리한 구조"라고 밝혔다.

이어 "고가의 집을 들고 있어 (세금)부담이 많이 되는 사람들에게 (거래세를 낮춰줌으로써) 쉽게 팔 수 있도록 해주면 지금처럼 보유를 안하려고 할 것"이라며 "그런 차원에서 지금부터 연구용역을 해보려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세제의 취득-보유-양도단계 전반적으로 어떤 정합성을 가지고 (부동산 세제정책을) 끌고 가야 될지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 부총리가 부동산 세제방향으로 '보유세 강화-거래세 완화'를 제시한 것은 문재인정부의 실책을 반복하지 않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기재부는 이른바 '똘똘한 한 채' 현상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꼽히는 1주택자에 대한 과도한 세제혜택도 종합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다만 정부가 부동산 세제는 '최후의 수단'으로 남겨둔 만큼 단기간에 관련정책이 나올 가능성은 낮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