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한국부동산원 9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9월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0.09% 상승에 그쳤지만, 서울은 0.58%로 전국 평균의 6배가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수도권도 0.22%로 뚜렷한 상승세를 보인 반면, 지방은 -0.03%로 하락해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심화됐다.
특히 서울에서는 송파구와 용산구가 각각 1.30%씩 급등하며 시장 과열을 주도했다. 송파구는 문정동과 잠실동의 재건축 추진 단지를, 용산구는 이촌동과 한남동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치솟았다.
이어 성동구 0.79%, 동작구 0.76%, 서초구 0.74%, 강동구 0.74%, 양천구 0.67% 등 강남권 전역이 고공 행진을 이어갔다. 강북권에서도 광진구 0.58%, 마포구 0.52% 등 학군지와 역세권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확산됐다.
반면 지방에서는 대구 -0.20%, 제주 -0.13% 등 하락세가 나타나 수도권과의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제주는 미분양 적체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전세시장도 과열 양상을 보였다. 서울 전세가격은 0.30% 상승하며 한 달 사이 급등했다. 송파구가 0.95%로 1% 근접 상승률을 기록했고, 서초구 0.65%, 강동구 0.64%, 용산구 0.57% 등이 뒤를 이었다.
역세권, 학군지, 대단지 등 정주여건이 양호한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 계약이 체결되고 매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며 가격이 급등한 것으로 분석된다.
월세시장은 더욱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서울 월세가격이 0.30% 올랐으며, 용산구는 0.63%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송파구 0.73%, 영등포구 0.48%, 양천구 0.47% 등도 큰 폭으로 올랐다.학군지와 역세권, 소형 규모 위주로 월세 수요가 급증하며 매물 부족이 지속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처럼 서울 주택시장이 매매·전세·월세 전 부문에서 동반 급등하고, 특히 재건축 단지와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투기 과열 양상까지 나타나자 정부가 강력한 규제 대책을 내놓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 달 만에 1% 이상 급등한 지역이 속출하고,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부의 '초강력 규제'는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장에서는 정부 대책 이후 단기적으로 관망세가 형성될 것으로 보고 있으나, 실수요 중심의 학군지와 역세권에서는 매물 부족 현상이 여전해 가격 하방 경직성이 클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