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李말대로…고신용자 금리 0.1%p 올리면? 저신용자 금리 1.9%p ↓

박소연 기자
입력
수정 2025.10.12. 오후 2:19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은 "고신용자 금리 0.1%p 올리면 저신용자 금리 1.9%p 인하 가능"
고신용자 中 중·저소득자 절반 육박
천하람 "성실 상환자에 상 대신 벌 내리면 신용사회 뿌리째 흔들릴 것"
대출금리 상승시 고신용 차주 1인당 연간 이자부담 증가 규모/그래픽=김지영
"초우량 고객에게 초저금리로 돈을 빌려주는데, 0.1%p만이라도 부담을 더 지워 금융기관에 접근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15.9%보다 좀 더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9일 국무회의에서 제안한 것처럼 고신용자의 대출금리를 0.1%포인트(p) 올려 더 걷힌 이자를 저신용 차주에게 이자감소 형태로 분배한다고 가정할 경우 저신용자 대출금리는 1.9%p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천하람 개혁신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말 기준 고신용자(신용점수 840점 이상)의 대출금리를 0.1%p 인상하면 1인당 연간 11만원씩 이자 부담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2분기말 기준 고신용자 차주 수가 1301만명이므로 이들에게 대출금리를 0.1%p 높이면 연간 이자 부담은 약 1조4300억원 증가한다.

고신용자 이자를 0.25%p 올릴 경우엔 1인당 연 27만6000원, 1%p 인상한다면 1인당 110만4000원을 더 부담해야 한다.(이하 모든 자료는 한국은행 가계부채 DB를 토대로 추산)

신용도 및 소득수준별 가계대출 잔액/그래픽=최헌정
소득별로 나눠서 보면, 고신용자이면서 저소득(소득 하위 30%)인 차주는 금리 0.1%p 인상시 1인당 연 7만2000원, 고신용·중소득(소득 상위 30~70%)인 차주는 1인당 연 7만5000원, 고신용·고소득(소득 상위 30%)인 차주는 1인당 연 14만4000원 이자를 더 부담해야 한다. 고소득자일수록 상환 능력이 높아 대출 원금이 크기 때문이다.

주목할 점은 고신용자이면서 중·저소득인 차주가 총 627만명으로, 전체 고신용자의 절반에 육박(48%)한단 점이다. 고신용자이면서 저소득인 차주(202만2000명)도 16%에 이른다. 고신용자라는 이유로 금리를 인상할 경우 소득이 높지 않은 차주도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의미다. 이 대통령의 해당 발언 당시에도 '고신용자=고소득자'라는 인식은 잘못됐다는 지적이 제기됐었다.

고신용 차주 대출금리 0.1%p 상승시 시나리오별 이자감소 추정/그래픽=최헌정

고신용자에게 대출금리를 0.1%p 올려 이자를 더 부담시킬 경우 저신용자(186만1000명)의 대출금리는 1.9p% 낮출 수 있다고 한국은행은 추산했다. 이 대통령이 언급한 것처럼 고신용 차주의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부담 증가액을 저신용 차주에게 이자감소 형태로 분배한다고 가정한 결과다. 이 경우 저신용자 1인당 연 77만2000원의 이자부담을 덜게 된다.

신용도별 차주 가계대출 연체율/그래픽=윤선정
이 대통령이 연 15%가 넘는 최저신용자 대출금리를 두고 "잔인하다"고 지적한 가운데, 저신용자 대출금리를 6%p 인하해 한 자릿수로 낮추려면 고신용자의 대출금리를 0.3%p 올려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신용자가 연 33만원의 이자를 더 부담해야 하는 셈이다.

문제는 저신용자의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금리 인하는 금융사의 부실화를 촉진할 수 있단 것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2분기말 기준 저신용자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23.8%로 2021년 1분기말 대비 7.4%p 늘었다. 이런 상황에서 금리를 낮추면 상환능력이 떨어진 한계차주들이 대거 유입돼 연체가 장기화되는 등 리스크가 커질 수밖에 없다.

천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은 열심히 일해서 성실히 대출 갚는 대다수 국민에 대한 역차별"이라며 "금융시스템 안정에 기여해 온 성실 상환자들에게 상은커녕 벌을 내린다면 신용사회가 뿌리째 흔들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