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자협회는 22일 성명을 내고 최 위원장을 향해 "이번 사태에 대해 즉각 사과하고 언론 자유의 가치를 훼손한 태도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촉구하며 "공적 권한을 가진 국회의원으로서, 과방위원장으로서의 최소한의 책임"이라고 했다.
이는 국정감사 업무보고 자리에서 불거진 논란과 최 위원장의 대응에 따른 비판이다. 앞서 최 위원장은 지난 20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에서 비공개로 이뤄진 과방위 현장시찰 MBC 업무보고 자리에서 박장호 MBC 보도본부장을 지목해 본인 관련 보도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국정감사 기간 여러 상임위가 제대로 운영되고 있지 않다며 법제사법위원회, 과방위 등에서 발생한 조롱과 비난, 욕설 등을 묶어 지적한 19일 뉴스데스크 리포트 <고성·막말에 파행만…'막장' 치닫는 국감> 관련 문제 제기다.
최 위원장은 해당 리포트를 현장에서 재생한 후 박 본부장에게 '이 보도가 중립적이라고 생각하느냐'고 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박 본부장이 개별 보도 사안에 대한 질의는 부적절하다고 답하자 최 위원장은 '왜 내 질문에 대해 평가하느냐'고 질책했고, 보도에 대한 입장을 설명한 뒤 보도본부장에게 퇴장을 명령했다. 이후 박 본부장은 업무보고 자리에서 퇴장했다.
MBC 내부에선 즉각 최 위원장의 언행을 두고 언론 자유 위협이자 권한 남용이라는 반발이 나왔다. MBC 기자회와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는 21일 성명을 내고 최 위원장이 국회 상임위원장으로서 권한을 남용해 언론 자유를 위협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최 위원장은 22일 오전 본인의 SNS에 올린 게시글에서 MBC를 향해 "친 국민의힘 편파보도가 언론 자유인가"라며 "큰소리치고 삿대질하는 국민의힘 행태는 한 마디 지적도 못 하면서 무슨 언론 자유를 운운하나"라고 비판했다. 박 본부장을 향해서도 "여전히 특권이며 성역인가"라며 "늘 다른 사람들을 비판하면서 비공개 국감에서의 '한 문장' 지적조차 못 견디겠나"라고 비난했다.
이에 한국기자협회는 성명에서 "최 위원장은 부당한 처사에 항의한 MBC 기자들의 정당한 문제 제기에 대해서도 되려 MBC를 '친 국민의힘 편파보도'로 낙인찍었다"며 "언론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조차 찾아볼 수 없는 태도이자 진영 논리로 자신의 부당한 행위를 덮으려는 시도로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현직 국회의원이자 집권 여당의 과방위원장인 최 위원장은 자신에 대한 보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면 공개적이고 합법적인 절차를 통해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충분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공개 업무보고 자리에서 기사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도록 법적으로 차단된 보도 담당 임원을 향해 압박성 발언을 했고 이는 명백히 언론의 독립을 침해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한국기자협회는 "언론계의 정당한 비판이 제기되자 최 위원장은 자신의 SNS를 통해 '비공개 국감에서 한 문장 지적도 못 견디겠느냐'고 되려 MBC를 재차 압박했다. 매우 유감스러운 태도"라며 "우리의 요구는 절차와 규범을 지켜달라는 것이다. 언론의 자유와 독립을 지키기 위해 누구나 지켜야 할 최소한의 원칙이며 과방위원장에게는 더욱 무거운 책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