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 이어지자 22일 “MBC의 친 국민의힘 편파보도가 언론자유인가” 반발
국민의힘 “언론 자유 짓밟은 최민희 위원장, 사과하고 자리에서 내려와라”
최 위원장은 22일 오전 본인의 SNS에 올린 게시글에서 MBC를 향해 "친 국민의힘 편파보도가 자랑스러웠나"라며 "국민의힘이 공개적으로 MBC 개별 보도를 비난한 게 한두 번인가. 그땐 겁먹어 침묵한 건가"라고 따져 물었다.
앞서 최 위원장은 지난 20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에서 비공개로 이뤄진 과방위 현장시찰 MBC 업무보고 자리에서 박장호 MBC 보도본부장을 지목해 본인 관련 보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해 논란이 됐다. 국정감사 기간 여러 상임위가 제대로 운영되고 있지 않다며 법제사법위원회, 과방위 등에서 발생한 조롱과 비난, 욕설 등을 묶어 지적한 19일 뉴스데스크 리포트 <고성·막말에 파행만…'막장' 치닫는 국감> 관련 문제 제기다.
최 위원장은 해당 리포트를 현장에서 재생한 후 박 본부장에게 '이 보도가 중립적이라고 생각하느냐'고 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박 본부장이 개별 보도 사안에 대한 질의는 부적절하다고 답하자 최 위원장은 '왜 내 질문에 대해 평가하느냐'고 질책했고, 보도에 대한 입장을 설명한 뒤 보도본부장에게 퇴장을 명령했다. 이후 박 본부장은 업무보고 자리에서 퇴장했다.
최 위원장은 SNS 글에서 "MBC 보도본부장은 여전히 특권이며 성역인가. 늘 다른 사람들을 비판하면서 MBC 보도본부장은 비공개 국감에서의 '한 문장' 지적조차 못 견디겠나"라고 따지며 "큰소리치고 삿대질하는 국민의힘 행태는 한 마디 지적도 못 하면서 무슨 언론 자유를 운운하나"라고 비판했다.
최 위원장은 본인을 향한 MBC 내부의 비판에 대해서도 반발했다. 지난 21일 MBC 기자회는 "방송관계법을 총괄하는 국회 상임위원장이 공영방송의 업무보고 자리에서 보도 관련 임원에게 퇴장을 명령한 행위는 부적절함을 넘어 언론의 자유에 대한 위협으로 비칠 수 있다"며 "권력기관이 언론을 위압하거나 간섭하는 것으로 오해받을 소지가 크다"고 비판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 역시 같은 날 "편집권 독립의 원칙상 개별 기사에 관여해서는 안 되는 임원에게 보도 경위를 거듭 추궁하고 격한 감정을 드러내며 퇴장까지 시킨 것은 명백히 소관 상임위원장으로서의 권한을 남용하여 휘두른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최 위원장은 "언론 자유와 방송 독립을 보장하고자 노력하는 세력에겐 큰 소리치고 방송을 장악하고 언론을 탄압하는 자들에는 무릎 꿇고, 무릎 꿇지 않고 저항한 참 언론인들을 오히려 따돌렸던 게 그대들의 언론 자유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한편 국민의힘은 최 위원장이 사과하고 자리에서 내려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손범규 국민의힘 대변인은 22일 오전 논평을 내고 "국민을 대표해서 국정을 살피는 국감장에서 본인이 그토록 오랜 시간 주장했던 언론의 자유와 공정을 짓밟은 최 위원장은 사과하고 자리에서 내려와야 한다"며 "최 위원장의 질의는 MBC 보도본부장의 답변처럼 '매우 부적절'하다. 국회는 개인의 이익을 위한 자리가 아니라 국민을 대표하는 공적 공간"이라고 했다. 손 대변인은 "언론은 권력을 견제하고 감시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며 "어느 누구도, 어떤 기관도 특정 보도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언론을 압박하거나 통제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