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여권 없어 안 들여 보내, 취재진 도움 없이 연락 불가능” 재반박
이윤희 KBS 주말앵커는 지난 18일 '뉴스9' <신속 적극대응?…대사관은 문전박대> 앵커멘트에서 "우리 정부는 '대사관에 신고'하라며 신속한 대응을 약속했지만, 과연 그럴까"라며 "긴박하고 간절했던 한 청년의 구조 요청에 한국 대사관이 보인 반응은, 신속이 아닌, 문전박대였다"라고 비판했다.
KBS는 해당 리포트에서 "돈을 벌러 왔다가, 4개월 동안 캄보디아 사기 범죄 단지에 갇혀있던 남성 김아무개씨가 지난 16일 밤 죽을 각오로 탈출해 한국대사관까지 밤새 달려왔다"라며 "이제 살았다 싶었지만, 대사관 안에 들어가지 못했다"고 전했다. 김씨는 KBS 인터뷰에서 "'여권이 있냐, 신분증 있냐'(해서), '아니 나 없다. 다 뺏겼다. 빨리 들어가야 된다. 위험하다' 얘기를 했는데 보여주래요"라고 말했다. 그마저도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 앞 경찰은 "3시30분이라서요. 업무가 끝났다"라고 말하면서 '업무종료'라고 했다.
KBS는 "불안해하던 김 씨를, 우연히 KBS 취재진이 발견하고 대사관에 대신 연락했더니 그제야 대사관에서 한국인 직원이 나왔다"며 "정부가 약속한 '신속 적극 대응'은 없었다"라고 비판했다.
이에 외교부는 19일 언론에 배포한 자료에서 강하게 반박했다. 외교부 대변인실은 "KBS 기자의 해당 단독 기사는 지엽적이고 단편적인 사실만 들어 관련된 전체상황을 잘못 보도한 것으로 실제 사실과는 매우 다르다"라며 "우리 국민이 대사관에 방문하였을 때 경비를 담당하는 현지 경찰(캄보디아인)로부터 민원실 업무 시간이 종료(민원실 종료 시간은 15:30, 대사관 종료 시간은 17시)되었다고 일단 안내받은 것은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외교부는 "대사관 직원이 김씨를 만나기 전 취재진이 먼저 접촉하고 대사관과 연락에 도움을 주었다고 해서 '정부가 약속한 신속 적극 대응은 없었다'라고 단정짓는 것은, 사실을 왜곡하는 것이며 국가기관인 대사관을 무조건 공격하여 기사에 주의를 끌어 보려는 의도를 가진 기사라고 볼 수 밖에 없다"라고 반박했다.
외교부는 특히 "민원인 발언 중 일부를 발췌하여 기사작성하는 과정에서 해당내용에 대해 대사관 또는 외교부 입장을 확인하지 않은 점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하며, 기사작성시 재외국민 보호 일선에서 대응중인 대사관 또는 외교부에 사실 확인을 거칠 것을 당부드린다"라고 밝혔다.
이에 KBS는 리포트를 통해 재반박했다. 이윤희 앵커는 19일 '뉴스9' <'최대한 조력' 했다지만…"여권 없다" 문전박대> 앵커멘트에서 외교부 해명 자료를 두고 "최대한의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면서 KBS 보도에 대해 이례적으로 강한 표현을 써 가며 반박했는데, 이게 또 논란"이라고 지적했다.
KBS는 리포트에서 "취재진이 확인한 현장은 외교부 설명과 거리가 있었다"라며 "김 씨가 대사관에 도착한 건 그제(17일) 오후 2시쯤이었고, 민원실은 열려 있었지만 '여권이 없다'는 이유로 들어가지 못했다"라고 반박했다. 김씨는 인터뷰에서 "'한국 사람 좀 불러달라' (말했는데) 안 된대요. '(여권) 없으면 못 들어간다' 그냥 계속 앞에서 버티다가 기자분들 뒤에서 뵌 것"이라고 말했다. KBS는 "취재진이 없었다면 대사관에 연락하는 것조차 사실상 불가능했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