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부동산 대책 자료 유출' TV조선, 국토부 6개월 출입정지

윤수현 기자 TALK
입력
수정 2025.10.16. 오전 11:54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정부 발표 직전 ‘TV조선 OOO기자’ 워터마크 적힌 자료 확산
사내 공유된 자료 외부로 유출… 국토부 기자단, 6개월 출입정지 징계
▲TV조선. ⓒ연합뉴스
TV조선이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전 규제 지역이 명시된 보도자료를 유출해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 기자단으로부터 출입정지 6개월 징계를 받게 됐다. TV조선 기자가 자사 시사프로그램 앵커에게 보도자료를 전달했고, 이후 보도자료가 외부에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 TV조선은 미디어오늘에 "내부 시스템을 정비해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5일 세 번째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강남3구·용산구뿐 아니라 서울 25개 구 전역과 한강 이남의 경기도 12곳 등 총 27곳을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정하고 금융 규제까지 강화하는 초강경 대책이다. 정부는 사전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지난 15일 오전 10시를 엠바고를 설정했다. 엠바고(보도유예)는 기자와 출입처가 일정 기간까지 사안을 보도하지 않는 것을 합의하는 것을 뜻한다. 기자들은 이보다 빨리 보도자료를 받았다.

하지만 엠바고 해제 1시간 전인 지난 15일 오전 9시경, 온라인 커뮤니티와 단체대화방 등에 사진 한 장이 공유됐다. 10·15 부동산 대책에서 어떤 지역이 새 규제 지역으로 선정됐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사진엔 "국토부 TV조선 OOO"이라는 워터마크가 있었다. TV조선에서 자료가 유출된 것이다.

▲지난 15일 오전 확산된 10·15 부동산 대책 규제지역 관련 보도자료. 이름은 흐림 처리.
이에 국토부 기자단은 지난 15일 TV조선에 출입정지 6개월 징계를 결정했다. 기자단 소속 57개 언론사 중 55개사 소속 출입기자가 한 명씩 참여한 투표에서 39명이 '6개월 출입정지', 8명이 '1년 출입정지', 8명이 '기자단 퇴출'을 택했다. TV조선은 내년 4월14일까지 국토부 공식행사와 기자실을 출입할 수 없으며, 엠바고 전 보도자료를 배포 받을 수 없게 된다. TV조선은 미디어오늘에 "국토부 기자단의 판단을 겸허히 수용한다"며 "내부 시스템을 정비해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TV조선 관계자가 투표 전 국토부 기자단에게 보낸 설명에 따르면 A기자는 15일 오전 자료를 수령해 사내 업무공유 대화방에 올렸으며, 이후 시사 프로그램 제작진 요청으로 해당 자료가 공유됐다. 시사 프로그램 앵커는 지인에게 자료를 공유했으며, 이후 자료가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 TV조선 관계자는 "명확한 유출 경위는 자체 조사를 통해 파악되는 대로 기자단과 국토부에 공유할 것"이라며 "다시는 이러한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내부 시스템을 전면 재점검하고 모든 임직원의 보안 의식을 철저히 재교육하겠다"고 했다.

앞서 10·15 대책 발표 전날인 지난 14일 오후 4시45분 온라인 커뮤니티 에펨코리아에 <낼 규제안 유출 미치셨습니까 휴먼?> 이라는 글이 올라왔다. 10·15 대책에 대한 관계부처 합동 보도자료 전문이 공개됐는데, 이 글에선 규제 지역에 대한 정보가 없었지만 TV조선의 자료 유출로 규제 지역이 엠바고 시점보다 빨리 공개됐다.

국토부 출입기자가 엠바고가 지정된 자료를 유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8월 정부가 '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발표하기 전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 관련 보도자료가 유출됐다. 보도자료엔 '중앙일보 OOO'이라는 워터마크가 있었고, 국토부 기자단은 중앙일보에 출입정지 1년 징계를 결정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