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석 전 정의당 의원은 지난 6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김현지 실장은 상명대 94학번"이라며 "조중동 정도 취재력이면 그거 못 알아내나. 당 주변 취재하면 반나절도 안 걸려서 알아낼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베일에 쌓인 측근 실세' 이미지를 대한민국 언론들이 즐기고 있다, 그걸 이용하고 있다. 그래서 이 상황을 한심하게 본다"라고 말했다.
김 실장 관련 논란이 불거진 건 지난달 말이다. 당시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이던 김 실장의 국정감사 증인 채택 여부를 놓고 여야 공방이 벌어졌다. 여당은 증인 채택에 반대했고 야당은 "김 비서관은 절대 불러선 안 되는 존엄인가"라고 반발했다. 결국 국감 증인 명단에 강훈식 비서실장과 김용범 정책실장 등이 포함됐지만 김현지 당시 비서관은 빠졌다.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1일 "제보를 받았다"며 김 실장이 사적 인연으로 산림청장을 추천했다고 주장했다. 신구대 환경조경학과를 졸업한 김현지 실장이 자신의 '은사' 김인호 전 신구대 교수를 산림청장으로 추천했다는 것이다. 이에 박 전 의원은 이날 저녁 YTN '뉴스플러스'에 출연해 '김 실장은 신구대가 아닌 상명대 출신'이라고 밝혔다.
박정훈 조선일보 논설실장은 지난 4일 <국회 위에 '측근 사생활'> 칼럼에서 "깊어 가는 '김현지 미스터리'를 둘러싸고 시중에 나도는 추측은 두 갈래"라며 "첫째, 김 실장이 이재명 대통령의 비밀을 쥐고 있기 때문이란 설이다. 정권의 은밀한 내막이 드러날까 봐 노출을 막는다는 것이다. 둘째, 김 실장이 성격적으로 밖에 드러나는 걸 극구 꺼린다는 말도 있다"라고 했다.
<'그림자 실세' 김현지, 국감 출석 전망 … 野 "여론 악화에 뒤늦게 나와">(9월26일 뉴데일리), <권력의 그림자를 국민 앞에 세워라 [김채수의 "왜 가만히 있어?"](10월3일 데일리안), <'그림자 실세' 김현지 경찰 고발…"국민 기만한 직권남용">(10월6일 서울신문) 등 그림자 실세를 단정한 제목도 보수성향 언론을 중심으로 이어졌다.
지난 3일자 <'깐깐한 일벌레'가 어떻게 '비선 실세'로?…김현지 향한 오해와 진실> 기사를 통해 김 실장을 둘러싼 논란들 다수가 오해라고 설명한 한겨레도 "1급 고위공무원으로 대한민국 대통령을 최전선에서 보좌하는 이가 '익숙한 방식', 자신들에게 '편한 방식'으로만 일할 수 있을까"라며 "권한에는 책임이 따른다. 국회 국정감사 출석은 임명직 공직자로서 책임을 다하는 길이기도 하다"고 했다.
한국일보는 지난 4일자 사설에서 "김 실장의 국감 출석도 피할 일이 아니다. 고작 그의 출신대학을 놓고 억측이 난무할 정도로 관심이 고조된 상태"라며 "전례를 따질 것도 없이 대통령의 최측근에 대한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면 그만이다. 대통령실은 사상 최초로 특수활동비 내역도 공개하지 않았나. 근거 없는 의혹이라면 야당이 된서리를 맞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