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해외순방에 동행하는 기자들이 지불하는 비용이 비싸다는 얘기를 꺼냈다. 이 대통령은 오는 23일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UN)총회 기조연설 등 해외순방에 나서는데 이때 동행취재 출입기자 1명이 내야 하는 대략의 금액을 언급한 것이다. 출입기자들 사이에서는 해외순방 비용이 부담된다는 얘기가 예전부터 있었는데 대통령이 언급했으니 부담이 줄어들 거란 기대도 생겼다. 물론 이와 관계없이 상당수 매체는 비용 문제로 해외순방을 꿈도 못 꾸는 상황이다.
미디어오늘은 지난 17일 오후 <대통령도 놀란 해외순방 동행 취재 비용, 대체 얼마길래>란 기사에 지난 6월 G7정상회의, 지난달 한일·한미정상회담, 곧 열리는 유엔총회 미국 순방 취재 비용이 얼마인지와 함께 출입기자들 의견을 담았다. 김영란법을 이유로 기자들의 숙박비와 항공료는 각 언론사가 부담해야 하지만 기자들과 정부 당국자들이 함께 쓰는 프레스센터 비용은 정부 측에서 더 부담해주면 좋겠다는 게 대체적인 기자들 의견이었다.
기사 출고 약 30분 뒤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실 산하 보도지원비서관실(구 춘추관) A행정관에게 전화가 왔다. 보도지원비서관실은 기자들 취재 업무 전반을 지원·관리하는 부서로 해외순방 동행취재 비용 실무도 담당한다. 퇴근길에 다시 대통령실로 복귀했다. A행정관은 기사 수정을 요청했다. "너무 출입기자 입장에서 썼다"는 말도 전했다.
수정 사항은 10개에 가까웠다. 제목에선 뭘 빼고, 부제는 어떤 내용으로 바꿨으면 좋겠고, 특정 문단을 통으로 빼달라는 요구도 있었다. 기자가 쓴 문장, 출입기자 인터뷰 내용, 가리지 않았다. 물론 행정관은 아주 정중하게 요청했다. 기자생활 하면서 이런 요청이 처음인 건 아니지만 이렇게까지 막무가내로 기사 전반을 뜯어고쳐달라는 요구는 매우 드문 일이다.
순간 여러 가지 생각이 머리에 스쳤다. 지난 정부 대통령실에서 미디어오늘이 겪었던 여러 부당한 처우, 비상계엄과 탄핵 직후 인수위도 없이 출범한 이번 정부의 어려움, 이제 막 취임 100일이 지난 '허니문' 기간의 분위기, 격무에 시달리는 대통령실 직원들의 처지까지. 요구사항 중 일부를 제외하고 편집국장에게 전달했다. 국장은 수정에 무리가 없다고 판단한 부분을 수용해 기사를 수정했다. 이후 저녁 약속에 갔고, 그 사이 A행정관에게 전화가 왔는데 못 받았다.
다음날인 18일 오전, 풀기자단 간사에게 해당 기사가 엠바고 파기에 해당할 수 있다는 연락을 받았다. 유엔총회는 아직 일정 전이니 그럴 수 있겠다고 판단해 유엔총회 비용 부분을 삭제했다. 출입기자단에도 알렸고, 그렇게 넘어가는듯 했다.
이날 보도지원비서관실에서 다시 전화가 왔고, 기사에서 유엔총회 비용 부분을 삭제했다고 말했다. 그러자 이번엔 기사 전체를 내려달라고 요구했다. '전날 기사 1차 수정 이후 미디어오늘 기자가 A행정관 전화를 받지 않았으니 엠바고를 어긴 뒤 회피한 것으로 보겠다'는 것이 이유였다. 이어 기사를 내리지 않으면 제재 수단을 찾겠다고 했다. 정말 엠바고 파기였다면 대통령실은 왜 기사 출고 직후엔 엠바고 얘기를 꺼내지 않았을까. 기자가 엠바고를 파기하고 피해 다닐 목적이었으면 퇴근길에 다시 대통령실로 돌아갔을까.
나중에 기자단 간사를 통해 들어보니, 이미 해외순방이 끝났더라도 대통령실에서 별도 '엠바고' 해제 통지를 하지 않았으니 여전히 엠바고가 유지되고 있다는 게 보도지원비서관실 입장이었다. 엠바고는 경호 등의 이유로 특정 시점까지 보도를 유예해달라는 조치다.
이후 대통령실은 공문을 만드는 대신 출입기자단 간사를 통해 기자들 의견 수렴에 나서달라고 요구했다. 통상 정부기관 엠바고 파기 시 기자 징계는 출입기자단에서 자율적으로 하지만 대통령실 출입기자(비풀단) 징계는 대통령실에서 결정한다. 대통령실이 징계 결정을 하기 부담스러우니 기자들 뒤에 숨는 것처럼 보였다. 결과는 '엠바고 파기가 아니다'란 의견이 훨씬 많았다고 한다.
대통령실 참모 관점에서, 기사를 다시 읽어봤다. 대통령이 생중계 기자회견에서 대변인에게 '순방 취재비용 절감 방안 검토'를 지시했으니 조금이라도 줄였어야 했다. 미디어오늘이 확인한 유엔총회 순방비용은 여전히 이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언급한 금액 수준이었다. 그런데 미디어오늘 기사에는 '프레스센터 비용'을 줄이면 된다는 제안도 들어있다. 이 대통령이 해당 기사를 보면 대변인실과 보도지원비서관실 쪽에 여러 가지 질문을 할 법 했다.
출입기자 상당수는 이번 보도지원비서관실의 대응에 비판적인 의견과 위로를 여러 방식으로 전했다. 일단 순방 일정이 끝났으니 엠바고는 당연히 해제이며, 유엔총회의 경우도 일정이나 장소는 엠바고일 수 있지만 비용은 엠바고 사항이 아닌데 대통령실이 잘못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통령 지시사항을 공론화한 건데 기사를 내리라고 하는 건 대통령 지시 불이행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19일 오후, 보도지원비서관실은 기자단 간사에게 '미디어오늘 기사 추가 수정 없이 사건을 종결한다'고 통보했다. 이번 사안의 책임자로 볼 수 있는 관계자는 이 모든 과정에 직접 나서지 않았고 경위 설명이나 사과도 하지 않았다. 애초 기사 수정 요청을 '호의'로 받아들여주니 징계 운운하며 압력을 넣으면 기사를 지울 '권리'도 있다고 느낀 듯 하다.
최근 대통령실 홍보라인은 강유정 대변인의 "원칙적 공감" 발언을 속기록에서 삭제했던 일로 논란을 자초하며 신뢰가 크게 흔들렸다. 묵묵히 주어진 업무를 하느라 정신이 없을 뿐 많은 출입기자가 대통령실의 '언론관'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