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요안나 1주기, 단식 8일만에 유족 찾은 MBC 사장…"빈손 방문"

윤유경 기자
입력
수정 2025.09.15. 오후 3:56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15일 오전, 안형준 MBC 사장 처음 어머니 단식 농성장 찾아
어머니 장연미씨 “비정규직 줄이고 기상캐스터 정규직화하라”
“차별과 혐오의 구조 바뀌지 않으면 어떻게 언론개혁 완성되나”
▲ 9월15일 오전 10시 고 오요안나 기상캐스터의 어머니 단식 농성장 앞에서 진행된 언론개혁시민연대 기자회견 현장. 사진=윤유경 기자.
고(故) 오요안나 MBC 보도국 기상캐스터의 1주기이자 어머니가 단식에 나선 지 8일째인 15일, 안형준 MBC 사장이 처음 단식 농성장을 찾았다. 유족 측은 안 사장이 유족의 요구안에 대해 어떠한 전향적 입장도 가져오지 않았다며 "빈손 방문"이라고 비판했다.

안 사장은 이날 오전 11시30분 경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 사옥 앞에 마련된 고인의 어머니 장연미씨의 단식 농성장을 찾았다. 안 사장의 방문을 포함한 MBC 측의 응답은 어머니 장씨가 MBC의 사과와 재발방지책을 요구하며 단식에 나선 지 8일째인 이날이 처음이다.

안 사장은 MBC 정책협력국장 등과 함께 사전 예고 없이 농성장을 찾아 어머니 장씨, 직장갑질119, 엔딩크레딧 등 연대단체와 함께 약 30분가량 대화를 나눴다. 유족 측은 안 사장이 고인의 근로자성에 대해 '고용노동부에서 근로자성을 인정하지 않은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없다'고 했고, 기상캐스터 정규직화에 대해 '기상캐스터 계약이 끝나는 연말 전에는 결정하기 어렵고 재계약 시기에 맞춰 시스템 개선을 검토하고 있다'고 답하며 사실상 정규직화를 거부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비정규직 전수조사 관련해선 '현재 전수조사 중이니 결과를 보고 판단하라'고 밝혀 요구안에 대해 진전된 내용을 아무것도 가져오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 안형준 MBC 사장은 이날 오전 11시30분 경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 사옥 앞에 마련된 고인의 어머니 장연미씨의 단식 농성장을 찾았다. 사진=윤유경 기자.
유족과 연대 단체 측은 안 사장이 유족 요구에 대한 어떠한 전향적 입장 없이 어머니에게 '건강이 염려되니 단식을 중단'하라고 말했다며 "MBC가 진심으로 어머니의 건강을 걱정하고 단식 중단을 원하면 기상캐스터 정규직 전환을 비롯한 핵심 요구안을 수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어머니 장씨 역시 "노동부 뒤에 숨어서 회사가 면피하고 있다. 아직까지 회사에서 요안나의 죽음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라며 "회사가 무엇인가를 가져와야 단식을 중단할 수 있다. 요구안에 대한 자세한 논의가 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라"고 말했다. 오 캐스터 유족은 MBC에 △오 캐스터 노동자성 인정 △기상캐스터 정규직화 △유족이 동의하는 제3기관의 MBC 비정규직·프리랜서 실태조사와 고용개선 △안형준 사장의 공개 사과와 재발 방지 입장 표명 △상설 추모공간을 비롯한 명예회복과 예우 조치 △합당한 보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안 사장이 농성장을 찾기 직전엔 농성장 앞에서 MBC의 책임 있는 답변을 촉구하는 언론개혁시민연대(언론연대)의 기자회견이 진행됐다. 발언에 나선 어머니 장씨는 이날 "오늘 아침에 눈 떠서 '요안나야 너가 간지 벌써 1년이 됐구나. 세월 너무 빠르다. 왜 너는 내 곁에 없는 거니'라고 물었다"고 말하며 눈물을 쏟았다. 장씨는 이어 "지켜봐주시는 분들께 너무 감사하고, 개인적으로 농성장에 찾아와 요안나의 팬이었다고 말해주시는 분들도 감사하다. 저 하늘에서 요안나가 기뻐할 것"이라며 고마움을 전하기도 했다.

▲ 9월15일 오전 10시 고 오요안나 기상캐스터의 어머니 단식 농성장 앞에서 진행된 언론개혁시민연대 기자회견 현장. 사진=윤유경 기자.
장씨는 "정의를 구현하다는 MBC, 시민을 위해 방송한다는 MBC가 직장에 있는 직원 한 명도 제대로 대해주지 못하면서 사회적으로 이런 이미지를 내세우는 이중적 회사라는 걸 알게 됐다"며 "요안나처럼 열정 많은 아이들을 데려다가 뼈를 갈고 피를 뽑아 이용하고 일회용처럼 버리는 걸 보면서 너무 가슴이 아팠다"고 말했다. 장씨는 MBC를 향해 "비정규직을 줄이고, 선제적으로 현재 있는 기상캐스터들이라도 정규직으로 바꿔달라"며 "MBC가 죽인 우리 요안나, 살려내라고 하면 살려낼 수 있나. 그러니 (MBC는) 우리의 요구안을 들어주고, 우리와 대화해주길 간곡히 부탁한다"고 말했다.

전규찬 언론연대 공동대표는 "공영방송 독립과 언론개혁을 말한다. 단순히 사장을 어떻게 뽑고, 이사진을 어떻게 구성하는 것으로 충분할까. 노동자가 노동자를 짓밟고 차별하고 혐오하는 구조, 정규직이 비정규직을 왕따시키는 구조, 이것이 침묵에 빠지는 구조까지 바꾸지 않는다면 어떻게 언론개혁이 완성될 수 있나"라고 물으며 "언론연대는 요안나의 문제를 더 적극적으로 책임있게 감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  9월15일 오전 10시 고 오요안나 기상캐스터의 어머니 단식 농성장 앞에서 진행된 언론개혁시민연대 기자회견 현장. 전규찬 언론연대 공동대표. 사진=윤유경 기자.
김재상 문화연대 사무처장은 "정부와 국회는 내란 청산, 검찰개혁 같은 정치개혁이나 기술 중심의 성장 전략에 관심이 집중돼 있다. 하지만 정작 일상에서 터져 나오는 불합리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는 찾아보기 어렵다"며 "정부와 국회 등은 철저한 진상규명을 통해 피해자와 유족에게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고 관련자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는 허울뿐인 문화 강국을 외치며 방송 미디어 현장의 불평등과 차별의 구조적 문제를 보고있지 않다. 이제라도 방송 미디어, 문화산업 전반의 구조적 차별과 불안정 노동 문제를 직시하고 실질적 해결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 상암동 MBC 사옥 앞에 마련된 고 오요안나 기상캐스터의 어머니 장연미씨의 단식 농성장. 사진=윤유경 기자.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도 "안형준 사장은 고 오요안나씨의 죽음에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구조적인 노동권 사각지대를 만든 책임을 인정하라"며 "고인이 마땅히 받아야 했던 노동자로서의 보호를 고인의 동료들이라도 받을 수 있게 지금이라도 기상캐스터직을 정규직화하고, MBC 내 비정규직 프리랜서들을 전수조사해 가능한 정규직화 시켜라"라고 촉구했다. 장 전 의원은 또한 "상암동을 메우고 일하고 있는 청년 비정규직 여러분, 여러분의 동료이자 친구의 1주기가 다가왔다. 1주기가 왔는데도 MBC에서 아무런 대응을 하고있지 않고 MBC의 어떤 기자도 나와 있지 않다"며 "우리의 이야기이고 청년 비정규직 여러분의 이야기다. 함께 귀 기울여 달라"고 외쳤다.

이날 오후 7시엔 유족의 단식 농성장 앞에서 '차별없는 방송, 착취없는 MBC' 고 오요안나 1주기 추모문화제가 진행된다. 유족의 연대 단체들이 꾸린 'MBC 고 오요안나 1주기 추모위원회'가 주관하는 추모문화제에선 시민사회와 방송현장에서의 추모 발언과 추모공연 등이 이뤄질 예정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