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경복궁 방문 때 용상에도 앉았다… 민주 “국보 훼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샤넬 가방 교환하러 왔던 유경옥
제품 고르며 김 여사 통화” 증언도
명태균 “尹여론조사 공천 대가 아냐”
김건희 여사가 이배용(앞줄 오른쪽 두 번째) 전 국가교육위원장 등과 함께 경복궁 경회루를 방문해 짝다리를 짚은 채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김 여사는 2023년 경회루 방문 당시 용상에 앉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제공

더불어민주당은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건희 여사가 2023년 경복궁 경회루를 방문해 ‘왕의 의자’(용상)에 앉았다는 의혹을 집중적으로 제기했다. 이날 열린 김 여사 재판에서는 통일교가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통해 전달한 샤넬 가방을 대통령실 직원이 교환할 때 김 여사가 제품을 골랐다는 정황을 의심케 하는 증언이 나왔다.

양문석 민주당 의원은 이날 국감에서 김 여사와 최응천 전 국가유산청장,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 등이 2023년 경회루를 방문했을 때로 추정되는 사진이 공개된 것을 두고 “김건희의 대한민국 국보 불법 침범 및 훼손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양 의원은 당시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실 선임행정관으로 근무하며 경회루 방문에 동행한 정용석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에게 “김건희가 왜 경회루에 갔느냐. 일반 민간인이 근정전 용상에는 왜 앉았느냐”고 따져 물었다.

정 사장은 “월대 복원 기념식과 아랍에미리트(UAE) 국왕 국빈 방문이 있었고, 답사 차원에서 설명을 들으러 간 것으로 기억된다”며 “(김 여사 등이) 국왕 내외분의 동선을 (점검)하면서 근정전에 들렀다가 경회루로 갔다가 흥복전까지 가셨다”고 답했다. 이어 “기획은 유산청에서 진행했고, 이배용 (전) 위원장 참석은 부속실에서 요청했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설명했다. 최 전 유산청장이 김 여사에게 용상에 앉으라고 권유했느냐는 질문에는 “정확하게 기억나지는 않는다”며 “(여사) 본인이 가서 앉으셨지 않았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날 서울중앙지법 형사27부(재판장 우인성) 심리로 열린 김 여사 재판에서는 전직 샤넬 매장 직원 A씨가 증인으로 출석해 2022년 4월 11일 유경옥 전 대통령실 행정관이 샤넬 가방을 교환하러 왔을 때 상황을 증언했다. A씨는 “(제품을 고르는 동안) 통화가 수차례 있었다”며 “통화 상대방이 상급자 같고 유경옥씨는 존댓말을 사용했다. 제품 선택은 통화 상대방이 했다”고 밝혔다.

A씨는 통화 상대의 목소리가 당시 언론보도 등에 나온 김 여사 목소리와 비슷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에 퇴근하며 김 여사 목소리를 유튜브를 통해 확인해봤다고도 했다. A씨는 통화 상대의 목소리를 묘사하면서는 “걸걸한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다.

특검은 이어서 진행된 명태균씨 증인신문에서 ‘명씨가 여론조사 결과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김영선 전 의원의 공천을 받았다’는 강혜경씨의 증언 등을 근거로 명씨를 추궁했다. 명씨는 “특검 측 공소사실과 달리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제공한 여론조사는 14건에 불과하다”며 공천을 대가로 제공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