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중도 퇴직 급증… 인재 유출에도 속수무책

박준상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최근 5년간 296명… 고위직이 ⅓
원인 분석없이 개별 면담 등 그쳐
사진=연합뉴스

외교부에서 최근 5년간 중도 퇴직한 직원이 300명에 달하며 3분의 1 이상이 고위공무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외교부는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한 대응책 마련에는 손을 놓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12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외교부를 중도 퇴직한 직원은 총 296명이다. 이 중 핵심 인력인 고위공무원 퇴사자도 37.5%(111명)에 달한다. 고위공무원 퇴사는 2020년 20명, 2021년 17명, 2022명 14명으로 줄어드는 추세였지만 2023년 27명, 2024년 33명으로 급반등했다. 올해는 지난 9월까지 총 43명의 직원이 퇴직했는데 그 가운데 고위공무원은 15명이었다.

외교관들은 재외공관 애로사항, 인사 문제, 업무량 과다, 노동시간 증가 등을 퇴직 원인으로 거론한다. 특히 미국발 관세 전쟁과 미·중 갈등, 대중·대일 관계 재정립 문제 등으로 정부 외교라인의 업무량이 급격히 늘었다. 또 중동분쟁을 비롯해 국제정세도 급변하고 있어 외교관의 중요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인력 이탈이 가속화하며 남은 직원의 업무 부담이 커지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다.

외교부는 중도 퇴직 원인 분석을 등한시하고 인사 참고용 개별 면담이나 유선을 활용한 사유 파악 정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중도 퇴직 관련 연구용역 역시 한 차례도 진행하지 않았다. 조 의원은 “외교관 한 명이 곧 국가의 외교 역량이고 인력 이탈은 곧 국가 외교력 약화로 직결된다”며 “내부 조사, 연구용역 등 근본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