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핵융합 첨단 연구인프라 구축 부지 찾는다

심지혜 기자
입력
수정 2025.10.23. 오후 2:47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과기정통부 , 사업설명회…내달 13일까지 공모
12월 예비타당성조사…2027년부터 본격 사업 추진
[대전=뉴시스] 한국의 인공태양 KSTAR.(사진=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정부가 핵융합에너지 연구 인프라 구축을 위해 부지 선정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23일 한국연구재단에서 핵융합 첨단 연구인프라 부지 유치 공모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공모 기간은 다음달 13일까지다.

미국, 영국, 중국 등 주요국이 핵융합에너지 개발 경쟁에 뛰어든 가운데 우리나라도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기술 및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를 위해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기획 중이다. 이 사업의 핵심은 핵융합에너지 상용화에 필수적인 핵심기술 개발과 기술 실증을 위한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예비타당성조사 기획을 위해서는 연구 인프라 구축 부지 선정이 사전 절차로 필수적이다. 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위해 1개 집적단지 부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부지 선정 절차는 사업설명회, 사전 실무 현장조사, 부지 유치계획 평가·발표 순으로 진행된다.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해 연구재단은 전문가로 구성된 별도의 선정평가위원회를 운영하고, 부지의 적합성과 활용가능성 등을 중심으로 평가할 계획이다.

부지 선정 절차를 기반으로 12월 제출 예정인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2027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다만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에 따라 사업추진 여부, 예산 및 사업기간 등은 변경 가능하다.

선정·평가 기준, 세부 일정 등 상세한 공고 내용은 과기정통부와 연구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핵융합에너지 개발의 궁극적 목표인 상용화를 위해서는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는 핵심기술과 개발된 기술의 실증 기반을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적으로 필요하다"며 "이번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핵융합에너지 실현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