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기관장·고위직·종사자 등 90% 이상
대학생 참여율 58%…"대학 관심과 노력 요구"
성평등가족부는 23일 '2024년도 공공기관 성희롱·성폭력·성매매·가정폭력 예방교육(폭력예방교육) 실적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점검 대상 공공기관은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공직유관단체, 각급 학교(초중고, 대학) 등 1만8226개다.
점검 결과를 보면 공공기관 기관장(99.7%), 고위직(94.9%), 종사자(94.2%) 등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성평등부는 "폭력예방교육이 조직 내 성평등 인식 개선 활동으로 자리 잡은 것"이라고 평했다.
다만 대학생 교육 참여율은 2021년 52.7%, 2022년 54.7%, 2023년 58.2%, 지난해 58.7%까지 상승했으나 다른 공공기관 종사자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종사자, 기관장, 고위직, 학생 등 모든 구성원 참여율이 90% 이상을 달성했으나 대학생은 비교적 저조한 셈이다.
이에 성평등부는 "대학 당국의 관심과 맞춤형 콘텐츠 개발 등 대학생 참여율 제고를 위한 노력이 더욱 요구된다"고 했다.
아울러 성평등부는 폭력예방교육 참여 부진기관도 공개했다.
부진기관은 지난해 기준 전체 1만8226개 중 195개(1.1%)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유형별로 보면 각급 학교가 67개로 나타났는데, 여기서도 대학이 51개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각급 학교, 지방자치단체(59개), 공직유관단체(55개), 국가기관(14개) 순으로 많았다.
또 교제폭력, 디지털성범죄, 스토킹 등 신종 범죄 폭력예방교육 추가 실시율은 평균 20.6%로 다소 낮았다. 지난해부터 성평등부는 신종 범죄 예방 교육 시 실적 점수에 가점을 부여하고 있고 올해 처음 교육 실시 여부를 점검했다.
교육 내용별로 보면 디지털 성범죄 89.5%, 2차 피해 32.6%, 스토킹 23.9%, 교제폭력 19.6% 순으로 높았다.
한편 이날 성평등부는 공공기관의 성희롱·성폭력 사건 재발방지대책 제출 여부 점검 결과도 발표했다.
그 결과 제출 대상 사건의 99.8%가 재발방지대책을 수립해 성평등부에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공공기관에서 발생한 성희롱·성폭력 사건은 총 8296건인데, 사건을 안 날부터 3개월 이내(법령상 제출기한) 대책을 제출한 사건은 6571건(79.2%)으로 전년보다 3.8%p 올랐다.
반면 3개월 이후 제출된 사건은 1710건(20.6%)으로 전년 대비 3.2%p 감소했다. 대책을 아예 제출하지 않은 사건은 15건(0.2%)으로 전년보다 0.6%p 줄었다.
원민경 성평등부 장관은 "높은 폭력예방교육 참여율에도 불구하고 대학생 참여율 제고 등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다며" 앞으로 교육 수요자 입장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통해 폭력예방교육 개편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