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협상단, 귀국 이틀만 다시 워싱턴…"마지막까지 와 있다"(종합)

이윤희 기자
입력
수정 2025.10.23. 오전 12:58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용범 "많은 쟁점 의견 근접…한 두 가지 남았다"
"우리 추가적인 입장 미국이 이해해주면 좋은 결과"
美상무장관과 엿새만 재협상…"감내 가능범위가 기준"
[워싱턴=뉴시스]이윤희 특파원 =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한미 관세 후속 협상을 위해 22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덜레스국제공항으로 입국하고 있다. 2025.10.23.
[워싱턴=뉴시스] 이윤희 특파원 =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이끄는 관세협상단이 이틀여만에 다시 미국 워싱턴DC에 도착했다. 아직 이견을 좁히지 못한 쟁점을 해소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은 22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덜레스국자공항으로 입국하며 특파원들과 만나 막바지 협상을 위해 미국에 추가 입장을 전달하고 협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실장은 현재 협상 국면에 대해 "지난 몇주간 양국이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자세로 쟁점들에 대한 진지한 얘기를 했기에, 많은 주제들은 사실 의견이 많이 근접해 있다"며 "(남은 것은)한 두 가지"라고 말했다.

이어 "한 두 가지 그런 주제에 대해 아직도 양국 입장 차이가 많다"며 "(지난번 방미 때)본국에 가서 보고하고, 다른 부처랑도 얘기하고 다시오겠다 정도로 우리가 시사하고 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한번 더 얘기를 해야된다 그래서, (협상은) 꽤 마지막까지 와 있다"고 전했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은 지난 16일 미측 관세협상을 이끌고 있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을 만났고, 저녁식사를 포함해 약 4시간 동안 협의를 진행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상당수 쟁점에선 합의에 이르렀으나, 일부 사안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협상단은 이후 귀국해 내부 조율을 거친 뒤 추가적인 방안을 마련해 다시 미국을 찾은 모습이다.

김 실장은 지난 19일, 김 장관은 지난 20일 귀국했는데 2~3일 만에 다시 미국을 찾게됐다. 재방미 계획은 지난 21일 이재명 대통령 대면보고 이후 잡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 실장은 "마지막까지 와있는데 협상이란 것이 중요 쟁점에 대해 잠정적으로 (합의)했던 부분까지 갑자기 연결돼 또 후퇴할 수도 있고 그래서 조심스럽다"면서도 "그렇지만 많은 쟁점들에 대한 이견은 어느정도 조율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이번에 온 추가적인 주제에 대해 우리 입장을 미국이 조금 더 진지하게 이해해준다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워싱턴=뉴시스]이윤희 특파원 = 한미 관세 후속 협상을 위해 22일(현지 시간) 다시 미국을 찾은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워싱턴DC 인근 덜레스국제공항으로 입국하며 특파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 실장은 사흘, 김 장관은 이틀 만에 다시 미국을 찾았다. 2025.10.23.
김 실자은 또 "그래도 계속 양쪽이 만나는 것이 진전이다"고 강조했다. 미국 요청으로 재방미 한 것이냐는 질문에는 "우리가 오겠다고 그랬다"며 "우리가 예고하고 온 것"이라고 답했다.

김 장관은 "남아있는 쟁점들을 물론 화상으로도 (논의)하지만, 직접 보고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일 것 같아서 직접 만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은 이날 오후 미국 상무부를 찾아 러트닉 장관과 협상에 나설 예정이다. 러트닉 장관과는 6일 만에 다시 만나는 것이다.

김 실장은 3500억달러 대미투자 계획을 선불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투자하기로 정리됐냐는 짐룬에는 "개별 주제, 개별 아이템에 대해서는 저희가 어떤 말도 한 적이 없다"면서도 "우리가 얘기했던 것은 우리나라가 감내할 수 있는 범위 내, 그게 기준"이라고 답변했다.

또한 "이게 다 연계돼 있는 문제"라며 "외환시장에 줄 충격이 커서는 안 된다 등 몇가지 중요 포인트가 있다"고 언급했다.

현금 투자 가능 범위에 대해서는 "한국은행 분석도 있고, 기획재정부 분석도 있고, 미국도 나름대로 국제 금융 시장에 대한 이해도와 분석도 있다. 각각 분석들을 갖고 이야기하고 있다며 "대전제는, 관세협상도 중요하고 한미간 서로 투자도 중요한데 대한미국 경제에 충격이 있어서는 안 된다. 그래야 합의가 이행도 되니까 거기에 대해서는 미국도 이해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거나 백악관을 찾을 계획은 없고, 러트닉 장관과 협상이 끝나면 이날 곧바로 조지아주 애틀랜타를 거쳐 귀국할 방침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경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