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도서관 소강당에서 공동 주최한 '시민주권서울혁신포럼' 창립 기념 세미나에 기조 발제자로 나서 오세훈 서울시장의 시정을 허세 시정, 강남 집중, 재정 악화, 경쟁력 저하 등으로 비판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강버스와 서울링, 서부간선도로평면화 등을 예로 들면서 "공공성은 외면하고 민간 이익만 중심에 두는 '시민 없는 시정, 시장을 위한 행정'"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함께 성장하는 따뜻한 서울'이라는 대전제 아래 보편적 고품질 교통, 역동적 친환경제, 모두가 건강한 서울, 지속가능한 재정 운영, 시민이 주도하는 서울, 주거안정과 쾌적한 서울생활 등을 서울의 미래 방향으로 제시했다.
박 의원은 서울 지자체간의 재정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재산세 공동과세의 특별시분 세액 비율 상향'과 함께, '강북횡단선 예타 재추진', '경전철 조기 착공' 등 대중 교통망 정비를 통한 생활권 통합과 균형발전을 강조했다.
그는 지속가능한 도시철도 운영 구조 마련을 위해 '노인무임승차제도 합리적 개선' 필요성도 언급했다. 혼잡시간 이용 제한과 연령 상한(65→70세)을 병행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녹지총량제 개편 필요성도 언급했다. 녹지 총량을 유지하면서도 도심 녹지·외곽 개발과 함께 훼손된 그린벨트 해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한편, 이번 세미나는 박 의원과 시민주권서울혁신포럼이 공동 주최하고 시민주권서울혁신포럼과 한국지방자치학회가 공동 주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