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제반 비용 올라 가격 인상 불가피…신중한 규제 필요"
나명석 신임 한국프랜차이즈협회장 "배달앱 구조로 촉발"
[서울=뉴시스]김민성 동효정 기자 = 최근 대통령실이 슈링크플레이션 등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꼼수 인상'을 규제하겠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꼼수 인상 방지를 위한 규제는 필요하지만, 가격 인상은 불가피한 결정이었다는 입장이다.
또 자영업자와 밀접한 산업인 만큼 가맹점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는 방향으로 규제가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17일 정치권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전날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소비자물가 인상 관련 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일부 치킨 업체의 가격 인상 문제를 지적했다.
대통령실은 먹거리 물가를 안정화하는 데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지만, 일부 프랜차이즈 치킨 업체들이 슈링크플레이션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슈링크플레이션이란 가격을 유지한 채 음식의 양을을 줄이거나 저렴한 부위로 원재료를 변경하는 것으로 사실상 가격을 인상한 효과를 낸다.
앞서 교촌치킨은 지난달부터 닭다리살만 쓰던 순살치킨 메뉴에 닭가슴살을 섞고, 중량을 700g에서 500g으로 줄여 사실상 가격을 인상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뉴시스 9월11일자 [단독] 교촌치킨, 순살치킨 중량 500g으로 줄여…"사실상 가격인상" 기사 참조)
이에 대해 치킨 업계에서는 고객 고지 없는 슈링크플레이션은 시정이 필요한 부분이지만, 인건비·수수료 등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조건적인 규제는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슈링크플레이션 등을 이용한 꼼수 인상은 분명 잘못된 부분이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동의한다"며 "다만 프랜차이즈 업계 구제는 가맹점주들과도 밀접히 연관된 내용이기 때문에, 점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는 방향으로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 관계자는 "업계 전반에서 소비자의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는 사안인 만큼, 중량이나 원료가 변경된다면 기업은 반드시 그 사실을 소비자에게 알릴 의무가 있다"며 "다만 유독 치킨업계에만 관심이 과도하게 집중되고 있는 점은 아쉽다"고 말했다.
또 다른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 관계자는 "튀김유 등 원부자재 가격을 비롯해 인건비·수수료 등 비용도 계속 오르는 상황에서 본사는 가맹점과 긴밀히 협의해 가격을 최대한 유지하고 있다"며 메뉴 구성이나 가격 조정은 맛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근본적으로는 배달 수수료 부담 완화 등 구조적인 해결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 신임 프랜차이즈협회장에 당선된 나명석 자담치킨(웰빙푸드) 회장도 대통령실이 치킨업계 '슈링크플레이션' 대응책 마련을 언급한 데 대해, 배달앱 수수료 부담이 가격 조정을 불가피하게 만든다는 입장이다.
나 회장은 제9대 한국프랜차이즈협회장 당선인 기자간담회에서 "슈링크플레이션은 무리수지만 업계 상황이 절박하다"며 "과거 가맹점 원가를 계산할 때 홍보비는 매출의 5% 정도였지만, 현재 배달앱 수수료가 35% 수준으로 늘면서 가맹점 마진 대부분이 앱 수수료로 흡수되고 있다"고 말했다.
나 회장은 이같은 문제는 배달앱 수수료 때문에 촉발된 사안으로 배달앱 수수료 구조 개선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병행돼야 자영업자 생존과 가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는 "가맹점이 (배달앱 수수료를) 전액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도 없고, 가격을 올리면 매출 감소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조정 폭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또 "본사도 할인 지원과 홍보비 부담을 감안해도 가격 인상은 어려운 결정"이라며 "정부와 플랫폼 사업자가 일정 부분 도움을 준다면 가맹점과 소비자 모두에게 일부 완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