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관매직 의혹' 이배용 특검 조사 불응…"건강상 사유"

김정현 기자 TALK
입력
수정 2025.10.13. 오전 10:37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022년 김 여사 측에 금거북이 건네고 청탁한 혐의
이배용, 주변에 '선물 목적이었을 뿐 청탁 없어' 부인
[서울=뉴시스] 이배용 당시 국가교육위원회위원장이 지난해 8월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교육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DB). 2025.10.13.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김정현 기자 = 금거북이를 전달하고 인사를 청탁했다는 의혹에 휩싸인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이 건강상 이유로 특별검사팀 출석 요구에 불응했다.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은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을 통보했던 이 전 위원장이 건강상 사유를 들어 출석이 어렵다는 의사를 변호인을 통해 전했다고 13일 밝혔다.

특검은 앞서 이 전 위원장에게 이날 오전 10시 사무실로 나와 조사를 받으라고 통보한 바 있다.

특검은 이 전 위원장의 소환 일정을 다시 잡을 계획이다.

특검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오는 14일에는 이 전 위원장의 비서를 맡았던 박모씨를, 17일에는 정모 정진기언론문화재단 이사장을 각각 참고인으로 출석 요구한 상태다.

이 전 위원장은 2022년 김 여사 측에 금 4~5돈(150~200만원) 상당의 금거북이와 윤석열 전 대통령 당선 축하 카드를 건네는 등 인사를 청탁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특검은 지난 7월 양평 공흥지구 의혹과 관련해 김 여사 오빠 김진우씨의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이 전 위원장 명의의 카드와 금거북이를 발견해 수사를 벌였다.

특검은 이 전 위원장이 금거북이를 건네고 중장기 국가 교육 시스템을 설계하는 장관급 국교위 수장으로 임명되는 과정에 김 여사가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의심한다.

이에 지난 8월 28일 이 전 위원장의 자택을, 지난달 초 국교위 내 이 전 위원장 사무실과 부속실, 비서 박씨의 사무실과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 하며 수사를 이어왔다.

국교위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제도 등 민감한 교육 분야 중장기 정책을 수립하는 합의제 행정기구로, 대통령이 지명하는 상임위원이 위원장 직책을 맡는 구조다.

이화여대 총장 출신인 이 전 위원장은 과거 박근혜 정부 당시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의 핵심으로 지목됐던 역사학자로 친일 극우 편향 역사관 논란이 있던 인물이다.

2022년 윤 전 대통령 당선 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특별고문을 맡았고 그해 9월 국교위 위원장에 지명돼 일했다.

이 전 위원장은 지난달 1일 사표를 냈고 대통령실은 이를 같은 달 8일 수리했다. 그는 이번 의혹과 관해 입장을 밝히지 않은 채 잠적해 왔다. 다만 주변에는 '금거북이를 선물 목적으로 건넸을 뿐 인사를 청탁하는 등 부정한 의도가 없었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혀 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 전 위원장은 오는 14일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도 증인으로 소환된 상태이나, 교육계와 정치권 등에서는 그가 출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