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요즘 영화 뭐 보러 가요? 일본 영화요!"⋯韓美 극장가 뒤흔든 日 애니 열풍


[아이뉴스24 설래온 기자] 일본 애니메이션이 미국은 물론 국내 극장가에서도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일본 애니메이션이 미국은 물론 국내 극장가에서도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사진은 해당 영화 예고편 장면. [사진=CJ ENM]
일본 애니메이션이 미국은 물론 국내 극장가에서도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사진은 해당 영화 예고편 장면. [사진=CJ ENM]

최근 뉴욕타임스(NYT)와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이 미국에서 이례적인 흥행을 기록하며 현지 영화계를 놀라게 했다.

지난달 12일 미국에서 개봉한 이 작품은 쟁쟁한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들을 제치고 전미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 2주 연속 정상에 올랐다. 누적 수입은 1억3020만 달러(약 1800억원)로, 외화 흥행 1위를 지켜온 '와호장룡'의 기록을 25년 만에 갈아치웠다.

이와 같은 인기에 현지 언론은 "'무한성편'의 개봉 첫 주말 수익이 업계 예상치를 55%나 웃돌았다"며 "젊은 세대의 변화하는 취향에 적응하지 못하던 할리우드를 깜짝 놀라게 했다"고 평가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 17~19일 주말 박스오피스 상위 10편 중 일본 애니메이션이 3편이나 이름을 올렸다.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이 1위, '극장판 주술회전: 회옥·옥절'이 3위를 차지했다.

일본 애니메이션이 미국은 물론 국내 극장가에서도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사진은 해당 영화 예고편 장면. [사진=CJ ENM]
국내서도 체인소 맨 극장판 등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 사진은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 포스터 중 일부 갈무리. [사진=MAPPA/소닉픽처스 코리아]

특히 전기톱 악마 '포치타'와 계약해 체인소 맨으로 변한 소년의 이야기를 그린 체인소 맨은 지난 11일부터 18일까지 단 하루를 제외하고 줄곧 1위를 지키며 누적 관객 221만 명을 기록했다. 잠시 2위로 내려앉았던 16일에는 같은 일본 애니메이션인 '주술회전'이 1위에 올랐다.

두 달 전 개봉한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역시 여전히 상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현재 누적 관객수는 546만 명으로, 올해 최고 흥행작인 한국 영화 '좀비딸'(563만 명)을 불과 17만 명 차이로 추격 중이다. 역대 일본 애니메이션 흥행 1위인 '스즈메의 문단속'(558만 명)의 기록을 넘어설 가능성도 높다.

일본 애니메이션이 미국은 물론 국내 극장가에서도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사진은 해당 영화 예고편 장면. [사진=CJ ENM]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이 인기에 힘입어 역대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흥행 1위를 기록한 스즈메의 문단속을 넘어설 가능성이 제기됐다. 사진은 스즈메의 문단속 포스터 이미지. [사진=웨이브]

팬데믹 이전에는 이들 작품이 국내 연간 박스오피스 50위권 안에 오르는 경우가 드물었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2020년 이후 개봉한 일본 애니메이션 중 4편이 올해 50위 안에 들었으며 역대 일본 애니메이션 흥행 상위 10편 중 6편, 20편 중 15편이 모두 2020년 이후 작품이다.

이 가운데 '명탐정 코난'과 '짱구는 못말려' 시리즈는 매년 꾸준히 개봉하며 팬데믹 이후 국내 관객층을 넓혀가고 있다. 과거 40만~50만 명 수준이던 흥행 성적이 2022년 이후에는 70만~90만 명대로 늘었다. 통상 시리즈물이 거듭될수록 관객이 줄어드는 일반적인 흐름을 뒤집은 셈이다.

주요 인기 요인으로는 실사 영화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애니메이션 특유의 상상력과 독창적인 스토리, 정교한 작화 등이 꼽힌다. 여기에 팬덤을 중심으로 입소문이 확산되면서 일반 관객까지 흥행에 가세하는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는 평가다.

일본 애니메이션이 미국은 물론 국내 극장가에서도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사진은 해당 영화 예고편 장면. [사진=CJ ENM]
인기가 있어 왔던 코난 시리즈도 관객이 늘고 있다. 사진은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포스터 중 일부 갈무리. [사진=CJ ENM]
일본 애니메이션이 미국은 물론 국내 극장가에서도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사진은 해당 영화 예고편 장면. [사진=CJ ENM]
사진은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태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 포스터 중 일부 갈무리. [사진=일본 도호/대원미디어]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이 한국 영화 관객층의 세대적 변화를 보여준다고 분석한다. 10~20대 중심의 팬덤이 30~40대까지 확산되면서 시장이 커지고 있으며 일본 애니메이션 관람이 더 이상 일부 마니아의 취미가 아니라 보편적인 문화로 자리 잡았다는 것이다.

이 같은 일본 애니의 열풍에 해외 마켓에서도 한국 수입사들이 일본 애니메이션 판권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을 치열하게 벌이면서 작품 한 편당 계약 가격이 몇 배씩 오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설래온 기자(leonsign@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요즘 영화 뭐 보러 가요? 일본 영화요!"⋯韓美 극장가 뒤흔든 日 애니 열풍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