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한얼 기자] 한국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대가로 꼽히는 한재권 한양대학교 로봇공학과 교수가 오는 23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리는 '아이포럼 2025'에 연사로 참여해 휴머노이드 로봇의 글로벌 개발 현황과 산업화 전망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다.
한 교수는 국내 휴머노이드 로봇 업계의 산파로 꼽힌다. 그는 한화시스템의 전신인 삼성탈레스와 로보티즈 엔지니어를 거쳐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로봇공학과 부교수와 에이로봇 CTO를 맡고 있다. 학계에서 후학 양성을 하는 동시에 로봇 산업 현업에서도 분투하고 있다. 특히 자신이 CTO를 맡고 있는 에이로봇은 휴머노이드 로봇 '엘리스'를 공개하며 이목을 끌고 있다.
한 교수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등장은 필연적인 흐름이라고 본다.
특히 한국은 인구 절벽으로 산업·경제·사회 전반의 위기가 시작되고 있어 인구 감소는 곧 산업 현장의 인력 공백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는 이러한 구조적 변화를 메워줄 해법이 바로 휴머노이드 로봇이라고 강조한다.
한 교수는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의 산업화 현황에 대해서도 심도 깊게 추적한다. 미국이 주도하고 중국이 바짝 뒤쫓는 형국인 가운데 각국을 대표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등장이 속속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한 교수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상용화를 위한 핵심 요소 기술로 △배터리 △AI칩 △액츄에이터가 필수적이라고 진단한다.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과 AI가 결합된 피지컬 AI 개발 선결 조건은 산업 현장의 데이터라는 주장을 전달할 예정이다.
한 교수는 한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전략도 새롭게 써야 한다고 강조할 예정이다. 현재 정부 주도로 40여 개 산·학·연이 참여한 ‘K-휴머노이드 연합’이 출범했지만, 기술력과 정책 모두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평가다.
단순히 로봇을 개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부품 생태계와 표준화, 인력 양성 등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아이포럼은 매년 하반기 주요 이슈를 진단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아이뉴스24의 대표 행사다. 올해는 산업 전반의 AI 전환이 가속화되는 현시점에서 기술·산업·정책 리더들이 모여 ‘AI 3대 강국’으로 가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포럼은 이날 오전 9시20분 오프닝 공연인 'AI 드로잉 퍼포먼스'를 시작으로 개회식, 제6회 아이뉴스24 D·N·A 혁신상 시상식, 기조연설, 세션 토론 순으로 진행된다.
/이한얼 기자(eol@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