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캄보디아 범죄단지의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그룹’의 자금이 국내 금융사의 현지법인 계좌에 900억 원 넘게 남아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국제 제재 이후 동결 조치가 이뤄졌지만, 우리 정부의 대응이 늦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수빈 기자입니다.

[기자]

인신매매와 불법 감금, 온라인 사기 등 각종 범죄의 배후로 지목된 캄보디아 프린스그룹.

미국과 영국 정부로부터 제재를 받고 있는 거대 기업집단입니다.

그런데 이 그룹의 자금 일부가 국내 금융사의 캄보디아 현지법인 계좌에 여전히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국민은행·전북은행·우리은행 등 국내 금융사 현지법인 5곳이 프린스그룹과 총 52건의 거래를 진행했습니다.

거래 규모는 약 1,970억 원에 달했습니다.

이 가운데 900억 원이 넘는 자금이 현재까지 국내 금융회사 현지법인 4곳 계좌에 남아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국민은행이 가장 많았고, 전북은행, 우리은행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은행들은 미국 해외자산통제국, OFAC가 프린스그룹 제재를 결정하자 해당 계좌를 곧바로 동결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제재를 따르지 않으면 국내 은행이 달러 결제망에서 퇴출되는 등 직접적인 금융 제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 정부도 뒤늦게 프린스그룹과 관련 범죄 조직을 대상으로 금융·외환·출입국 제재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은 외교부 등 관계 부처와 협의해 금융 제재 여부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한국 정부가 이미 범죄 정황과 피해를 인지하고서도 국제 제재가 발표된 뒤에야 대응에 나선 ‘뒷북 조치’라는 비판이 제기됩니다.

이번 동결 자산을 바탕으로 범죄 이익 환수 등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수빈입니다.

[뉴스리뷰]

#캄보디아 #국내은행 #현지법인 #예치금 #검은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수빈(soup@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2

ADVERTISEMENT